닫기

“독립의 감동, 시민과 함께”…안성시, 8월 한달간 광복 기념 문화사업 추진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w.asiatoday.co.kr/kn/view.php?key=20250803010000630

글자크기

닫기

안성 이진 기자

승인 : 2025. 08. 03. 10:31

안성시, 모두 함께 누리는 독립의 감동
김보라 경기 안성시장이 지난해 8월 15일 안성 3.1운동 기념관에서 열린 광복절 기념 보훈 문화행사에서 기념사를 하고 있다. /안성시
경기 안성시가 광복 80주년을 맞아 8월 한 달간 시민과 함께 역사적 감동과 희열을 나누는 대규모 기념 문화사업을 추진한다.

안성시는 '다시 찾은 빛, 80'이라는 슬로건 아래, 광복 80주년 기념 사업의 일환으로 학술·전시·공연·체험 등 다채로운 프로그램을 기획했다고 3일 밝혔다.

8월 한 달간 추진하는 이번 행사는 안성3·1운동기념관을 비롯해 국회의원회관, 스타필드 안성 등 다양한 공간에서 모두가 함께 누리고, 잊어서는 안 될 소중한 역사를 돌아보는 시민 참여형 문화축제로 가치를 더할 예정이다.

안성은 3·1 운동 전국 3대 실력 항생지로 1919년 4.1만세 항쟁을 통해 일제 폭압에 맞서며 '2일간의 해방'을 쟁취했다. 이를 바탕으로 안성시는 독립운동가들의 희생정신과 의지를 계승하고자 안성3.1운동기념관을 중심으로 관련 행사와 교육을 진행하고 있으며, 지역 독립운동 인물 발굴 사업을 지속적으로 추진해 독립 영웅 위패를 모시고 있다.

광복 80주년 기념 사업 중 첫 번째는 그동안 쉽게 접할 수 없었던 역사적 사실을 바탕으로 학술심포지엄이 마련돼 눈길을 끈다. 오는 5일 국회의원회관 제3세미나실에서 열리는 행사는 '3·1운동, 일제는 왜 내란죄 적용을 포기했나'를 주제로 분야별 전문가들이 모여 깊이 있는 발표와 논의가 진행된다.

특히 3·1운동 재판 과정에서 일제가 내란죄 적용을 검토했던 사례를 종합적으로 조명하고, 독립운동에 대한 일제의 법적, 정치적 입장과 함께 그 속에 담긴 숨겨진 의도를 해부한다. 이는 당시의 대표 사건과 인물 등을 바탕으로 전개 양상, 특징, 재판 과정 등을 처음으로 비교·분석하는 자리라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주제 발표와 토론 내용은 △일제의 3·1운동에 대한 내란죄 적용 검토와 정치적 함의 △민족대표 48인 사건의 재판 △화성 지역 3·1만세운동과 일제의 내란죄 적용 시도 △안성 원곡면·양성면 만세 시위 운동과 재판 과정 등 4편의 주제 발표와 종합 토론이 이어진다.

학술 세미나 다음 날인 6일 안성3·1운동기념관 광복사에서는 지역 독립운동가들의 넋을 기리고 그 뜻을 후대에 전하는 위패 봉안식이 열린다. 광복사는 안성3·1운동기념관 내에 조성된 추모 공간으로, 2001년 6월 첫 위패 봉안을 시작으로 매년 독립운동가의 발굴과 서훈에 따라 위패를 추가 봉안해 왔다. 현재 광복사에는 총 328분의 독립운동가 위패가 봉안돼 있다.

올해는 김분남 선생과 이교정 선생의 위패가 새롭게 봉안된다. 김분남 선생은 안성시 읍내면 장기리 출신으로, 1930년 정신여학교 재학 중 광주학생운동에 동조해 만세운동과 동맹휴교에 참여했다. 이교정 선생은 양성면 명목리 출신으로, 1919년 양성면 만세운동에 참여하다 체포돼 형벌을 받는 등 갖은 고초를 겪었다.

광복절 당일에는 모든 세대가 화합하고, 감동의 역사를 체험할 수 있는 문화축제, '다시 찾은 빛 80'이 개최된다. 15일 오전에는 안성3·1운동기념관에서 지역 독립운동가들에게 감사의 마음을 전하는 헌화식을 시작으로, 기념관 전시실과 야외광장에서 어린이와 청소년을 위한 역사 체험프로그램이 진행된다.

같은날 오후에는 스타필드 안성으로 무대를 옮겨, 1945년 광복 당시 안성 장터의 분위기를 재현한 메인 행사가 열린다. 애원극장, 호서은행, 안성역 등 일제강점기 안성의 명소를 미니어처로 복원한 공간에서 타임슬립 포토존, 독립운동 요원을 찾아라, 광복의 기쁨 몸으로 말해요 등 흥미로운 체험을 즐길 수 있다.

이날의 하이라이트는 단연 '다시 만난 독립운동가' 행사다. 안성시는 AI 복원 기술을 활용해 독립운동가의 모습을 되살리고 이를 후손에게 전달하는 특별한 자리를 마련했다. 이번에 사진 복원이 이뤄진 독립운동가는 남시우 선생, 윤규희 선생, 이진영 선생, 장덕관 선생, 한응교 선생 등 총 5명이다.

행사는 위대한 역사 속에 지워졌던 얼굴과 기억을 세상에 다시 드러내는 상징적 작업으로, 복원된 사진은 세대와 세대를 잇는 화합의 연결고리로 남다른 의미를 지닌다.

김보라 시장은 "이번 기념 사업을 통해 안성 독립운동의 역사적 가치를 대내외적으로 알리고, 지역 공동체가 더욱 단결하며 상생하기를 기대한다"며 "단지 과거를 기리는 것에서 멈추지 않고, 독립운동가들의 희생과 헌신을 오늘날의 감동으로 발현해 시민 모두가 자긍심을 느낄 수 있는 시간이 되길 바란다"고 전했다.
이진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