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자 예산 14조7655억원 반영…8% 증액
|
4일 시에 따르면, 지난해 약자동행지수는 130.6으로 전년(111.0)보다 17.7% 상승했다. 기준연도인 2022년(100)과 비교하면 30.6% 높아진 수치다. 약자동행지수는 △생계·돌봄 △주거 △의료·건강 △교육·문화 △안전 △사회통합 등 6대 영역의 50개 세부 지표로 구성된다.
영역별로 보면 △의료·건강(156.5) △안전(148.9) △생계·돌봄(127.8) △교육·문화(111.3) 등 시민 일상과 밀접한 4개 영역이 상승했다. 시 관계자는 "위기 소상공인, 가족 돌봄 청년, 고립은둔청년처럼 새로운 사회적 위험에 선제적으로 대응해 정책 사각지대를 발굴하고 수익성 높은 사회 문제 해결을 위한 신규 사업을 집중적으로 추진한 결과"라고 평가했다.
가장 큰 폭으로 상승한 지수는 의료·건강 영역으로, 2023년 120.1에서 지난해 156.5를 기록했다. 시 관계자는 "10개 지표 중 9개가 2년 연속 상승했다"며 "인구 구조 변화, 정신 건강 이슈 등에 대응한 맞춤형 정책 확대가 전반적인 지표 개선을 견인했다"고 분석했다.
안전지수는 9개 세부지표 중 6개 지표가 상승하면서 2023년 124.9에서 지난해 148.9로 올랐다. 고립·은둔 청년 발굴·지원, 장애인 대중교통 이용 규모가 늘어난 점이 배경이라고 시는 설명했다. 다만, 교통약자의 교통수단 이용 만족도는 전년 대비 소폭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생계·돌봄 지수도 100.8에서 127.8로 올랐다. 가족 돌봄 청년에 대한 복지 서비스 연계, 위기 소상공인 발굴·지원, 디딤돌소득 지원 가구의 일에 대한 만족도 등이 커진 결과로 풀이된다.
교육·문화 지수는 98.4에서 111.3으로 상승했다. 취약계층 아동 학습 역량, 교육 소외계층 맞춤형 지원, 취약계층 재능개발 지원, 학교 밖 청소년 맞춤형 서비스, 디지털 취약계층의 디지털기기 활용 역량, 사회적 약자의 문화활동 참여, 공공 공연장에서의 무장애 공연 비율, 모두가 이용 가능한 공원 등 8개 세부 지표가 모두 개선됐다.
반면 △주거(120.3) △사회통합(95.6) 2개 영역은 면밀한 진단과 보완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주거 지수는 2023년 125.1에서 지난해 120.3으로 소폭 하락했다. 주거 취약가구의 주거환경 개선 규모는 2023년 2694호에서 지난해 2157호로 약 20% 줄어든 점이 영향을 미쳤다. 다만 쪽방촌, 고시원, 반지하 가구를 발굴해 공공 임대주택으로 이주를 지원하는 주거취약계층 주거상향 지원 규모는 2023년 4969호에서 지난해 5468호로 개선됐다.
사회통합 지수는 2023년 97.9에서 95.6으로 떨어졌다. 코로나19 이후 사회적 신뢰 저하 영향에 서울시민의 자원봉사 참여율과 기부 경험률 등 일지표가 하락한 결과라고 시는 분석했다. 시 관계자는 "고물가·저성장 등 경제 상황 악화, 코로나19 팬데믹 등의 영향으로 사회적 연대가 약화되면서 사회 통합 영역에 자원봉사, 기부 등 시민 참여 지표는 기준연도 대비 연속 하락세를 보여 회복을 위한 전략 마련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며 "시민의 자발적 참여가 핵심인 만큼 시민 참여를 위한 실효적인 대응 정책을 강구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시는 올해도 약자와의 동행 가치를 이어가기 위해 관련 예산을 전년보다 1조883억원(8.0%) 늘린 14조7655억 원을 반영했다.
정상훈 시 기획조정실장은 "약자동행지수는 서울시의 '약자와의 동행'이 구호를 넘어 시민 일상을 변화시키고, 서울시정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하는 기준"이라며 "시민이 체감할 수 있는 일상의 변화를 확산하고, 보이지 않는 사각지대까지 살피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