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이치모터스 주가조작 혐의 지속 부인해 와
|
서울중앙지법 남세진 영장전담 부장판사는 이날 변호사법 위반 등 혐의를 받는 이 전 대표에 대한 구속 전 피의자 심문(영장실질심사)를 열고 "증거를 인멸할 염려가 있다"며 구속영장을 발부했다.
이 전 대표는 '도이치모터스 주가조작 의혹'과 관련해 김건희 여사의 주식 계좌를 관리해 온 인물로 알려졌다. 도이치모터스 주가조작 의혹은 2009년부터 2012년까지 권오수 도이치모터스 전 회장이 주식시장에서 활동하던 이른바 '주가조작 선수', 전·현직 증권사 임직원들과 공모해 도이치모터스 주가를 조작했다는 의혹이다.
이 전 대표는 해당 의혹에서 2차 작전 시기로 분류되는 2010년 10월부터 2012년 12월 차명계좌를 이용해 권 전 회장 등과 시세조종을 주도한 것으로 밝혀졌다. 또 이 전 대표는 도이치모터스 1차 주가조작 주포인 이정필씨로부터 2022년 6월부터 2023년 2월 총 25차례에 걸쳐 8000여만원을 받고 형사재판에서 집행유예를 선고받을 수 있도록 힘써주겠다고 말한 혐의를 받는다.
아울러 이 전 대표는 김 여사가 배후에 있다고 의심되는 삼부토건 주가조작, 임성근·조병노 구명로비 등 의혹에도 등장한다.
앞서 이 전 대표는 수사 발단이 된 이씨 진술이 허위라며 혐의를 지속적으로 전면 부인해 왔다. 김건희 특검팀에 자신과 이씨가 만났다고 지목된 날짜에 실제 방문 장소를 적은 알리바이 자료도 낸 것으로 알려졌다.
이날 법원에서 1시간가량 영장실질심사를 마치고 나온 이 전 대표는 '변호사법 위반 부분에 대해 어떻게 소명했나'라는 취재진의 질문에 "성실히 임했다"고 말했다. '최후 진술에서 어떻게 피력했나', '이씨에게 윤 전 대통령 부부와의 친분을 언급한 사실이 없다는 입장인가', '김 여사에 청탁한 게 있나'라는 질문에는 답하지 않은 채 법원을 빠져나갔다.
이 전 대표 구속으로 오는 6일 예정된 김건희 여사 소환 조사에도 힘이 실릴 전망이다. 김 여사는 2009∼2012년 발생한 도이치모터스 주가조작 사건에 돈을 대는 전주로 가담한 혐의를 받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