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명로비 의혹 이종호와는 일면식 없다 재차 답해
|
임 전 사단장은 7일 오전 9시 43분께 서울 서초구 순직해병 특검 사무실에 출석해 "특검은 피의자 신문 진행 시 범죄사실이 무엇인지 특정해 줄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임 전 사단장은 "압수수색 영장에 기재한 범죄사실과 관해 해병대원들이 안전장비를 착용하지 않은 채 허리 깊이의 수중수색을 하도록 지시한 사실이 없다"며 "이미 사실관계 근거를 밝힌 경북청과 달리 제게 업무상 과실치사 혐의가 인정된다 판단할 증거와 정황을 특검 측에서 제시해 주길 바란다"고 말했다.
이어 "신속기동부대에 대한 작전통제권을 갖고 있지 않았다"며 "육군50사단장 등의 작전통제권을 침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군내부에 허용되는 수준으로 작전지도를 한 것"이라고 밝혔다.
임 전 사단장은 '이종호 블랙펄인베스트먼트 전 대표를 모르신다는 입장은 변함이 없나'란 질문에 "전혀 일면식이 없는 분"이라며 "사건이 발생하고 청문회와 매스컴을 통해 알게 됐다"고 답했다.
또 '순직해병 사망 사건 이후 김계환 전 사령관과 비화폰으로 어떤 통화를 했느냐'는 질문엔 "직속 상관 부하관계로 군사상 업무를 포함해 많은 대화와 통화를 했다"며 "부대 조기안정화를 중점에 둔 통화를 한 걸로 기억한다"고 했다.
아울러 순직해병 사망사건에 책임을 묻자 "안타까운 부분은 있지만 작전을 수행할 작전 통제권을 타 부대에 이양한 상태에서 작전 수행 간 이뤄진 조치의 권한과 통제는 작전부대장에게 있다"며 "제가 알기론 형사적으로 책임을 질 게 없다고 알고 있다"고 말했다.
임 전 사단장은 지난 2023년 7월 경북 예천 호우 피해 복구 작전에서 안전장비 없이 해병대원들을 수색 작전에 투입해 해병대원 1명을 숨지게 했다는 업무상과실치사 혐의를 받는다.
그는 사망한 해병대원과 급류에 휩쓸렸다가, 구조된 예비역 해병대원으로부터 고발당했다. 이 전 대표 등이 임 전 사단장을 구하기 위해 김건희 여사 측에 청탁했다는 '구명 로비' 의혹의 당사자이기도 하다.
앞서 임 전 사단장은 지난 2일 피의자 신분으로 특검에 한차례 출석해 조사를 받았으나 상당 부분 진술거부권을 행사한 것으로 알려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