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충남도 농업기술원은 최근 드론 스테이션 활용 조류 퇴치 현장 실증을 실시하면서 그 가능성을 확인했다.
7일 농기원에 따르면 이번 실증은 초조생종으로 7월말∼8월초 수확이 가능한 빠르미를 재배 중인 보령 지역 논에서 실시했다.
벼가 잘 익은 황금들녘은 참새들의 표적이 되고 있는데, 외딴 논의 경우 '분산 효과'가 없어 그야말로 남는게 없을 정도로 피해가 심각하다. 빠르미 논의 경우도 벼가 일찍 여물기 때문에 푸른 논 가운데 '나홀로' 황금들녘을 연출하며, 외딴 논과 다름없이 참새들의 손쉬운 먹잇감이 될 수밖에 없다.
농업인들은 황금들녘 사수를 위해 허수아비를 세우고, 반짝이 테이프를 매달며, 새그물과 새망, 화약총, 대포나 레이저까지 동원해 참새와의 전쟁을 치르고 있다. 그러나 이들 참새 퇴치 방법은 효과가 일시적이거나 없는 경우도 있다. 이같은 상황에 농기원이 등장시킨 드론은 스테이션을 스스로 이륙해 논 구석구석 미리 정해둔 경로를 비행한다.
비행 중에는 조류가 싫어하는 소리를 내보내 참새들을 쫓는 효과를 올리게 된다. 배터리가 소진되면 자동으로 스테이션에 착륙해 충전하고, 완충 시 다시 이륙한다. 드론은 이같은 과정을 반복하게 되는데, 농업인이 할 일은 앱을 통해 드론 작동 또는 중지 명령만 하면 된다.
지난달 보령에서 실시한 실증을 통해 농기원은 드론 비행 시 참새가 달아나며 △수량 감소 피해 최소화 △조류 퇴치를 위한 노동력 절감 △조류 피해에 따른 농업인 정신적 스트레스 저감 등의 효과를 올린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윤여태 쌀연구팀장은 "군집을 이룬 참새들이 잘 익은 논에 내려앉아 자식처럼 키운 곡식을 먹어치워도 농업인들은 대책없이 당할 수 밖에 없는 것이 현실"이라며 "이번 드론 스테이션 시스템은 참새로부터 논을 지키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어 "이번 실증에서는 1대를 투입했으나, 여러 대의 드론이 동시 다발로 비행한다면 그 효과는 더 커질 것"이라며 "드론 스테이션 시스템의 높은 가격은 일반 활용에 걸림돌이 될 것으로 예상되나, 사양 조정 또는 기술 진보 시 적정 수준으로 낮아질 수도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