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15% 금리에 계좌당 815원 기부
사회공헌활동에 보훈문화 확산도
|
이렇듯, 은행권은 올해 광복 80주년을 기념해 '애국'을 주제로 금융 활동에 나서고 있다. 크게는 독립유공자 후손을 돕는 직접 지원 방식과, 역사 콘텐츠나 고객 참여형 캠페인을 통한 간접 지원으로 나뉜다. 은행별 접근 방식은 다르지만, 공통적으로는 과거의 희생을 기억하고 광복의 의미를 현재에도 함께 나눌 가치로 확장하려는 시도로 읽힌다.
7일 금융권에 따르면, 5개 주요 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IBK기업)은 광복 80주년을 기념해 '애국 금융'에 나서고 있다. 지원 방식은 크게 독립유공자와 그 후손을 대상으로 한 직접 지원과, 역사 콘텐츠나 고객 참여 프로그램 등을 통한 간접 지원으로 나뉜다.
이중 대표적인 직접 지원 사례로는 신한은행의 독립유공자 후손 지원이 있다. 신한은행은 기념일을 단순히 상징적으로 소비하기보다, 광복 정신을 계승하는 금융 지원으로 이어갔다. 이를 위해 임직원 기부 프로그램으로 조성한 3000만원을 대한적십자사를 통해 독립유공자 후손에게 전달할 예정이다. 기부한 자금은 독립유공자 후손의 생계비와 주거환경 개선 등에 사용된다.
이어 하나은행과 우리은행은 광복의 의미를 상품 설계에 담았다. 이들은 각각 '대한민국만세 80주년 적금'과 '우리 광복 80주년 적금'을 출시했다. 두 상품 모두 최고금리 8.15%를 적용하고, 가입 계좌당 815원을 독립유공자 등에 기부하는 구조다.
하나은행은 태극기 게양 및 나라사랑 실천 서약, 2025년 출생 아동·부모, 첫 거래 고객 등 다양한 조건에 따라 우대금리를 제공한다. 우리은행은 모회사인 우리금융그룹이 국가유공자 지원과 보훈문화 확산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함에 따라, 독립유공자 생계비 지원과 '모두의 보훈드림' 공동 홍보에도 함께 나서고 있다.
간접 지원의 대표적 사례로는 국민은행이 있다. 국민은행은 광복절을 계기로 독립운동의 역사적 의미를 되새길 수 있는 콘텐츠 제작에 나섰다. 국민은행은 앞서 서경덕 성신여대 교수와 협업해 2021년부터 '독립영웅들의 숨겨진 이야기' 영상 시리즈를 꾸준히 제작해왔다. 올해는 해당 시리즈에서 다뤘던 유적지를 직접 찾아가는 '역사여행' 콘텐츠로 확대했다. 이 영상은 광복절 당일 공개될 예정이다.
기업은행도 고객 참여를 통한 사회공헌에 초점을 맞춰 간접 지원에 힘을 보탰다. 모바일 앱을 통해 고객이 후원 대상을 선택하면, 은행이 해당 단체에 기부하는 '8로업 후원 챌린지'를 운영 중이다. 참여자 수에 따라 기부 규모가 확대되며, 최대 8만명 도달 시 총 5억원이 유공자·군경·소방 관련 단체에 전달된다. 참여 고객에게는 최고 연 8%의 우대금리도 제공된다.
은행권의 이번 '애국 금융' 활동은 광복의 의미를 되새기는 동시에, 고객과의 접점을 넓히려는 목적으로도 해석된다. 은행권 관계자는 "광복절을 맞아 국가의 경제 주권을 지켜온 금융의 역할을 되새기며, 국민과 함께하는 금융이 되기 위해 노력할 예정"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