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포항시, 한국형 배터리 여권 플랫폼 구축… 전기 배터리 전주기 통합 관리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w.asiatoday.co.kr/kn/view.php?key=20250807010003703

글자크기

닫기

포항시 장경국 기자

승인 : 2025. 08. 07. 17:05

부산광역시와의 협력으로 지속가능한 배터리 산업 생태계 조성 시너지 기대
사본 -AB4G7712
포항시청사전경
경북 포항시가 블록체인에 기반한 '배터리 여권' 플랫폼을 구축한다.

7일 포항시에 따르면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총괄하고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이 전담하는 2025년 블록체인 공공분야 공모사업에서 부산시와 함께 최종 선정돼 국비 26억 원을 확보했다.

EU의 디지털 제품 여권(Digital Product Passport, DPP)은 모든 제품의 생산·유통·사용·폐기 등 생애주기 정보를 디지털 형태로 저장·공유하도록 하는 제도로, EU는 2027년부터 배터리를 시작으로 섬유·전자제품·철강 등으로 확대 적용할 계획이다.

이번 사업은 글로벌 공급 내에서 경쟁력 강화를 위해 국내 플랫폼의 전략적인 필요성이 커지고 있는 가운데 EU의 디지털 제품 여권 제도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고 상호 운영이 가능한 한국형 배터리 여권 플랫폼을 구축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시는 이번 사업으로 EU 제도에 호환 가능한 한국형 배터리 여권 플랫폼을 선제적으로 구축하고, 전기 배터리 전주기 통합관리체계를 마련한다. 수집된 데이터는 주차·충전·안전서비스, 중고차 거래와 정비, 배터리 재 조·재사용·재활용 등 다양한 분야에서 실증에 활용될 예정이다.

시는 배터리 리사이클링 규제자유특구를 시작으로 양극재 국가첨단전략산업 특화단지, 이차전지 기회발전특구, 이차전지 글로벌 혁신파크 지정 등 핵심 국책사업을 추진해 왔으며, 기업들의 14조 원 규모의 대규모 투자유치 등을 이끌어 내며 이차전지산업 인프라 확충해 왔다.

특히 블록체인 특화 클러스터를 갖춘 부산광역시와의 협업으로 사업 추진 시너지 효과를 높이고, 플랫폼을 고도화하고 글로벌 표준화에 앞장선다는 방침이다.

이강덕 포항시장은 "배터리 여권의 국제 표준화를 선도하고, 전기 배터리 통합관리체계를 구축해 지속가능한 배터리 산업 생태계 조성에 앞장설 것"이라고 밝혔다.

장경국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