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정청래 ‘국힘 패싱’에 합공모드… 정치사면·이춘석 고리로 반격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w.asiatoday.co.kr/kn/view.php?key=20250811010004657

글자크기

닫기

박영훈 기자

승인 : 2025. 08. 10. 18:02

전대 2주앞, 여야 정국 먹구름
"與 의회독재·李 차명거래 게이트"
내로남불 프레임 내세워 강공전략
더불어민주당 '정청래 체제' 출범과 함께 여야 관계는 한층 더 강경해진 대립정국으로 치닫고 있다.

정청래 대표가 국민의힘을 '내란 세력'으로 규정하며 대화 거부 입장을 굳히자, 국민의힘은 주식 차명거래 논란으로 민주당을 탈당한 이춘석 의원을 고리로 맞불 특검 공세에 나서고 있어서다.

전당대회를 약 2주 앞둔 국민의힘 당 대표 후보들도 강경 노선을 예고한 상황에서 양당 간에 꼬인 실타래는 좀처럼 풀리지 않을 전망이다.

10일 정치권에 따르면 정 대표는 취임 후 국민의힘을 '내란 세력'으로 규정하고 대화에 나서지 않고 있다. 지난 5일에는 제1 야당인 국민의힘을 '패싱'한 채 조국혁신당·진보당·기본소득당·사회민주당 진보 진영 정당 대표를 연달아 예방했다.

정 대표의 강경 행보는 지난 민주당 전당대회 과정에서부터 예고된 상황이었다. 당시 정 대표는 국회 본회의 의결을 통해 정당해산심판을 청구할 수 있도록 하는 '헌법재판소법 일부개정법률안'을 대표 발의 했다.

현행 헌법재판소법은 '정당의 목적이나 활동이 민주적 기본질서에 어긋날 때' 정부가 국무회의 심의를 거쳐 정당해산심판을 청구할 수 있다고 규정하고 있다.

정 대표는 자신의 페이스북에 "실행되지 않은 예비음모혐의, 내란선동만으로 정당이 해산됐는데, 내란을 실행한 국민의힘 소속 윤석열 당원의 죄는 통진당보다 10배, 100배 더 중한 죄 아닌가"라고 했다.

이춘석(왼쪽)·윤미향. /연합
여야 합의로 지난달 29일 국회 운영위원회를 통과한 국회 윤리특별위원회 구성안도 정 대표 지시로 중단된 상태다. 여기에 민주당은 '3대 특검(내란·김건희·채상병)' 드라이브를 걸고 국민의힘을 압박하고 있다. 통일교 불법 정치자금 의혹이 제기된 권성동 의원까지 내란 수사 범위에 포함해야 한다는 주장도 나왔다.

국민의힘은 이재명 정부의 광복절 특별사면을 정면으로 겨냥했다. 나경원 의원은 이날 자신의 페이스북에 조국 전 조국혁신당 대표, 윤미향 전 의원의 사면 추진설을 놓고 "계엄의 비극은 민주당의 의회독재가 적지 않은 원인을 제공했다"며 "국민과 국가에 해가 되는 파렴치 범죄를 엄단해야 한다고 진정으로 생각한다면, 조국·윤미향 사면에 먼저 반대하라"고 했다. 앞서 윤 전 의원은 일본 위안부 피해자 할머니들의 후원금을 횡령한 혐의로 대법원에서 유죄 확정판결을 받았다.

이춘석 의원의 주식 차명거래 의혹에 대해선 '게이트'로 규정하고 '이춘석 특검법'을 당론 발의했다. 민주당이 앞서 발의한 3대 특검과 같은 형식을 적용해, 이를 거부하면 '내로남불' 프레임을 씌우겠다는 전략이다. 곽규택 수석대변인은 논평에서 "주식시장 패가망신 1호 이춘석 의원의 차명거래, 이해충돌, 내부거래까지 함께 터지며 이 정부의 도덕적 해이가 극명히 드러나는 중"이라고 했다.

전당대회를 앞둔 국민의힘 당권주자들도 공세 수위를 높이고 있다. 현재까지 뚜렷한 절대 1강은 없지만 반탄(탄핵 반대) 파가 유리하다는 평가가 지배적이다.

"민주당의 좌파 선전·선동수법에 빠져서는 안 된다"는 김문수 후보와 장동혁 후보 역시 '단일대오'를 외치는 동시에 "계엄 유발한 정청래가 내란교사범·내란주범"이라고 말했다.
박영훈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