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진영 간 대립’ 둘로 갈라진 대한민국…“소통·대화, 타협·협력의 노력 필요”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w.asiatoday.co.kr/kn/view.php?key=20250819010008380

글자크기

닫기

정민훈 기자 | 박서아 기자

승인 : 2025. 08. 18. 17:57

李대통령 '포용·통합' 대국민 메시지
정치 양극화·사회 불평등 갈수록 심화
정치 지도자·정당 스스로 변화나서야
이재명 대통령은 지난 15일 제80주년 광복절 경축사를 통해 '포용'과 '통합'을 강조했다. 12·3 비상계엄 사태 봉합 과정에서 사회적 문제로 떠오른 진영 간 대립을 끝내야 한다며 '국민 통합'의 메시지를 냈다.

이 대통령의 말처럼 우리나라의 진영 간 갈등 수위는 최고조에 이르렀다. 12·3 비상계엄 여파로 정치적 양극화가 극단적인 형태를 띠며, 국민 분열까지 초래되는 양상이 전개되고 있다. 또한 교육, 문화, 사회 등 다양한 영역에서도 전선(戰線)을 긋는 방식의 사회적 갈등이 분화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갈라진 사회를 통합하기 위해선 시민 모두가 소통과 대화, 타협과 협력의 노력을 보여줘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특히 사회통합을 가로막는 정치 양극화와 사회적 불평등이 결국 공동체의 삶을 해친다는 점을 깨달아야 한다고 했다.

이병훈 중앙대 명예교수는 사회통합을 위해선 위·아래 모두의 변화가 필요하다며 '대화와 소통의 장'을 만들어야 한다고 했다. 이 명예교수는 "위에서 폭포가 쏟아져 내려오듯 정치 지도자나 진영의 리더들이 상생·공존·통합을 위한 전문가적 소통과 협력을 보여주면 공존하는 변화를 만들 수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독일의 메르켈 전 총리는 보수당 대표로 집권했음에도 좌측 진영의 인정을 받으며 국가 지도자로서 역할을 했다"며 "우리나라의 경우 정치 지도자와 정당이 스스로 변화하는 모습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이 명예교수는 독일의 '독일이 말하다' 프로젝트를 아래로부터 사회통합의 예시로 제시했다. 그는 "독일 주간지 '디 차이트'가 시작한 이 프로젝트는 정치 지도자의 변화를 기다리기보다 일반 시민들 간 대화를 통해 변화를 찾고자 했다"며 "자발적 참여자를 모집하고, 젠더·평화·기후 등 쟁점별로 진보·보수 성향의 사람을 1대1로 연결해 대화를 나누게 했다. 처음에 수백명으로 시작했지만 정부 지원을 받아 크게 확대됐고 이 시도는 '유럽이 말하다', '세계가 말하다'로 확산됐다"고 설명했다.

이어 "이러한 시도는 양극단의 핵심 세력을 바꾸기 어렵더라도, 무비판적으로 한쪽에 몰린 사람들이 쟁점을 다시 돌아보고 상대를 이해하며 공동체 의식을 형성하는 계기가 될 수 있다"고 부연했다.

국내 최대 규모의 사회학 학술단체인 한국사회학회장을 맡고 있는 임운택 계명대 사회학과 교수 역시 '이념 갈등'으로 사회가 크게 분열되고 있다며 근본적인 불평등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고 했다.

임 교수는 "12·3 비상계엄 후 정권이 교체됐음에도 여전히 이념적 갈등이 발생하고 있다"며 "혐오·차별금지·젠더·외국인·세대 등 다양한 영역으로 갈등이 표출되고 있어 통합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이어 "사회통합이 어려운 이유 중 하나는 '불평등 지수'가 높아졌다는 점"이라며 "경제적 문제가 모든 것을 해결하는 방식은 아니지만, 불평등은 많은 문제의 원인을 제공하기 때문에 이를 해결해야 한다"고 했다.

석재은 한림대 사회복지학부 교수는 제도적인 해결도 중요하지만 무엇보다 시민 개개인의 노력이 아주 중요한 때라고 진단했다. 석 교수는 "개인과 사회가 상호 연결된 존재임을 인식하고 갈등과 분열이 결국 자신의 삶을 해친다는 점을 우리가 깨달아야 한다"며 "이러한 인식을 지속적으로 환기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정민훈 기자
박서아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