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에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미·러, 미·우크라 연쇄 정상회담을 갖고 러·우크라 전쟁 종전 중재에 나섰다. 러·우크라 종전 협상의 최대 쟁점은 '영토교환'과 '우크라이나 안전보장'이다. 러시아는 종전 조건으로 우크라이나 동부 돈바스 지역(도네츠크주와 루한스크주)을 넘겨받길 원하고 있다. 미·러 정상은 우크라이나가 이 지역을 러시아에 양도하고, 러시아는 미국과 유럽이 북대서양조약기구(NATO)식 안전보장을 우크라이나에 제공하는 수준에서 합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대해 젤렌스키 대통령은 "영토 문제는 러시아와 우크라이나가 함께 결정할 사안"이라며 직접 만나서 담판을 짓자는 뜻을 내비쳤다.
트럼프 대통령의 중재 따라 전쟁 당사국 정상이 만난다고 해도 완전 합의가 이뤄져 종전으로 이어질지는 미지수다. 담판 대상인 영토 문제에 대한 양국의 의견 대립이 첨예하기 때문이다. 러시아는 현재 돈바스 지역의 88%를 점령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정상회담이 시간 끌기 수단이라는 분석이 나오는 이유다. 이에 반해 우크라이나 헌법은 영토를 양도하지 못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우크라이나 국민 정서는 영토 양보에 극도로 민감하다. '양보하느니 전쟁을 택하겠다'는 여론이 만만치 않다는 것이다.
우크라이나 안전보장과 관련해서도 푸틴 대통령이 완전히 양해했는지 의구심이 남는다. 푸틴 대통령의 러·우크라 전쟁 목표가 우크라이나의 친(親)서방 정권 제거와 무장해제이기 때문이다. 그런데도 NATO 헌장 제5조가 규정한 '회원국 중 한 국가가 공격받으면 전체 동맹에 대한 공격으로 간주하고 공동 대응한다'는 식의 집단안전보장을 푸틴 대통령이 선뜻 받아들였는지는 여전히 의문이다. 젤렌스키 대통령이 "미국이 안전보장의 일원으로 참여한다는 중요한 신호를 받았다"고 말한 것도 러시아로서는 그냥 지나칠 수 없는 대목이다.
여러 상황에도 불구하고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정상이 개전 후 처음 만나는 것은 그 자체만으로도 의미가 크다. 전쟁 당사국이 직접 담판을 벌여 종전에 대한 결과물을 도출해 낼 가능성에 대한 기대감 때문이다. 양자 회담 후 트럼프 대통령과의 3자 회담으로 이어지는 과정을 통해 러·우크라 전쟁이 종식되는 돌파구가 마련되기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