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북도는 19일 도청에서 '새 정부 국정 방향 대응 보고회'를 갖고 분야별 전략 마련과 핵심사업을 구체화해 본격적인 예산 확보에 착수했다고 밝혔다.
이 지사가 직접 주재한 이번 보고회는 지난 13일 국정기획위원회가 '국민보고대회'에서 밝힌 이재명 정부의 5대 국정 목표와 123개 국정과제에 맞춰 경북의 대응 전략을 구체화하기 위해 마련됐다.
이날 보고회는 경북문화관광공사, 경북테크노파크, 경북바이오연구원, 경제진흥원, 경북문화재단, 경북행복재단 등 주요 출자·출연기관도 함께 참석했다. 경북도는 국정과제에 중점 대응할 핵심 10대 키워드로 인공지능(AI), 에너지, 미래산업, 기후 위기 대응, 자치분권·균형성장, 민생경제, 농산어촌, 복지·보건의료, 인구 위기 극복, 창의적 문화국가 등 제시했다.
경북도는 우선 정부의 'AI·에너지 고속도로'와 대응해 국가 AI 컴퓨팅 센터 유치와 산업 AI 혁신지원센터 등을 조성해 AI 3대 강국 도약을 지원한다.
이에 원전 활용 청정수소 생산 클러스터와 수소 고속도로, 동해안 해저 전력망 기반 구축을 통해 경제성장과 탄소중립의 동시 달성에 나선다.
인구 위기 극복과 복지·보건의료와 관련해서는 경북이 '저출생과 전쟁'을 통해 정부를 선도해 온 만큼 가장 두각을 나타낼 수 있는 분야다.
또 저출생 극복 융합 돌봄 특구를 확대 운영해 도민 체감도를 높이고 분절된 복지·보건·요양 서비스 등을 통합하는 경북형 통합돌봄과 건강증진형 보건진료소를 시범 모델로'행복하게 자라는 아이, 두려움 없는 노후'를 실현한다는 복안이다.
자치분권과 균형성장의 핵심이 될 SOC분야는 중부권 동서횡단철도, 신공항 순환철도(대구~신공항~의성~군위~영천~대구), 대구·경북 대순환철도, 남북 9축(영천~양구), 남북 10축(영덕~삼척) 고속도로 등을 국가 도로철도망 계획에 반영해 신속하게 추진할 예정이다.
또한 창의적 문화국가와 관련해서는 권역별 융복합 K-콘텐츠 산업 지원과 5 韓의 국제 브랜드화를 통해 문화자원을 집중적으로 육성할 계획이다.
포스트 APEC 사업도 중요한 사안인 만큼 경주를 국제적인 관광거점으로 성장시켜 APEC성공 개최의 감동을 이어가고 지역의 특색있는 관광자원을 개발해 '높은 문화의 힘으로 세계를 선도하는 나라'를 완성키로 했다.
그 뿐만 아니라 산불 피해지역의 혁신적 재창조를 위한 '산불 피해 특별법'을 연내 제정해 산불피해지역의 민생경제 회복을 도모한다.
특히 경북 농업대전환의 전국 확산을 위한 제도 정비, 돈이 되는 산을 위한 산림소득 프로젝트로 농산어촌에도 생기가 돌 수 있도록 활력을 불어넣을 방침이다.
이 지사는 "국정과제에 얼마나 철저히 준비했느냐에 따라 사업 진행 여부가 결정된다"며 "AI, 에너지 같은 미래산업과 농업, 문화관광 등 경북의 강점을 살린 대응 전략을 빈틈없이 추진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