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양보다 질’ 문턱 높아진 IPO시장… 상장 도전기업 중도 포기 속출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w.asiatoday.co.kr/kn/view.php?key=20250820010009088

글자크기

닫기

박주연 기자

승인 : 2025. 08. 19. 17:59

올해 심사 진행 73곳 중 12곳 철회
재무구조 등 거래소 심사강화 기조
전문가 "투자자 보호위한 필요 조치"
코스피가 전장보다 25.72포인트(0.81%) 내린 3,151.56으로 거래를 마친 19일 서울 중구 하나은행 딜링룸에서 한 딜러가 자리로 향하고 있다. 이날 코스피는 대내외 불확실성이 지속하는 상황에서 전날 1.50% 떨어진 데 이어 이틀 연속 내리막길을 걸었다. /연합
올해 들어 기업공개(IPO)에 도전한 기업 가운데 일부가 심사 과정에서 발길을 돌렸다.

상장 심사가 까다로워지면서 중도 철회하는 기업들이 나타나고, 자진 철회 후 재도전을 검토하는 움직임도 이어지고 있다.

금융당국이 과거 부실 상장 논란을 계기로 심사 기준을 높이며 '양보다 질' 중심의 정책을 강화한 결과라는 분석이다.

전문가는 애초에 심사 단계부터 부실 기업을 걸러내는 것이 투자자 보호와 시장 안정화에 더 바람직하다고 조언한다.

19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올해 상장예비심사 신청서를 제출한 기업은 총 73곳으로 집계됐다. 이 중 12곳(16%)이 심사 과정에서 중도 철회하거나 미승인을 통보받아 상장에 실패했다.

일례로 시각장애인용 점자 기기를 개발하는 닷(Dot)은 지난 5월 예비심사를 신청했지만 이달 12일 철회했다. 지난해 매출 130억원을 기록했으나 212억원의 순손실과 자본 잠식 등 재무 구조 악화가 심사 과정에 부담으로 작용했을 가능성이 제기된다. 체외진단기기 업체 젠바디 역시 지난 3월 심사를 신청했으나 7월 거래소로부터 미승인 통보를 받았다.

코로나19 진단키트로 급성장했으나, 팬데믹 종료 이후 안정적인 사업 지속 가능성에 대한 의문이 제기된 것으로 알려졌다.

이처럼 상장 좌초 기업이 발생하는 배경에는 거래소의 심사 강화 기조가 있다. 금융위원회와 한국거래소는 올해 초 'IPO 및 상장폐지 제도개선 방안'을 내놓으며 진입과 퇴출 요건을 동시에 강화했다.

△기관투자자 배정 물량의 40% 이상을 의무보유 확약 기관에 우선 배정 △소규모 사모운용사·투자일임사의 수요예측 참여 제한 △주관사의 코너스톤 투자자 도입 및 사전 수요예측 의무화 등이 담겼다. 이는 단기 차익을 노린 기관 매매로 인한 공모가 왜곡과 상장 직후 주가 급락 같은 부작용을 줄이려는 취지다.

상장폐지 요건도 내년부터 단계적으로 강화된다. 코스피는 시가총액 기준이 50억원에서 200억원으로, 코스닥은 40억원에서 150억원으로 상향된다. 2028년까지는 각각 500억원, 300억원까지 확대될 예정이다.

기준 강화에 나선 배경은 과거 부실 상장 때문이다. 바이오기업이 기술특례 상장 이후 연속 적자와 임상 실패로 투자자 피해를 야기한 경우가 종종 있었다.

혁신기업 지원을 위해 도입된 제도가 오히려 '부실 상장 통로'로 악용됐다는 비판이 나온 이유다.

전문가들은 IPO 문턱 강화가 투자자 보호 차원에서 불가피하다고 말한다.

전성인 홍익대 경제학과 교수는 "과거에는 적자 기업이 손쉽게 상장에 진입해 투자자 피해로 이어졌다"며 "상장폐지로 몰고 가기보다 애초에 심사 단계에서 걸러내는 것이 바람직하다. 진입 요건을 엄격히 하는 것이 시장 안정화와 투자자 보호 차원에서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박주연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