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최초 기술 개발·신산업 생태계 조성 등 목표
|
21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2025년도 추가 지정 7개 사업을 포함한 39개 '혁신도전형 앞으로 R&D 사업군(APRO R&D)' 목록을 홈페이지를 통해 공고했다.
APRO R&D는 세계 최고 또는 최초 수준의 연구 성과를 지향, 실패 가능성은 높으나 성공할 경우 혁신적 파급효과를 이끌어낼 수 있는 R&D사업을 선별·지정하고 차별화된 체계로 지원하는 사업이다.
과기부는 지난 4월부터 주요 R&D를 수행하는 정부부처를 대상으로 후보사업을 발굴하여, 혁신도전성의 대표 요소로서 A(Aim-high, 도전성)- P(Problem-solving, 기대효과)-R(Revolutionary, 혁신성)-O(Over&over, 파급효과)와 함께 유형별 적절한 추진체계를 구성하고 있는지를 중심으로 검토했다.
이번 추가 지정 절차는 지난 6월 25일 개최된 제3회 혁신도전추진 특별위원회의 사업 후보 심의를 거쳐 확정됐다. 추가 지정된 7개 사업 중 4개는 혁신도전형 과제의 기획·선정·평가 등 연구관리 권한과 책임을 총괄관리자에게 부여하여 밀착 관리되는 '밀착관리형' 사업이다. 나머지 3개는 경쟁 기획, 동일 목표에 대한 다수 과제 선정·경쟁 등 경쟁형 방식을 적용하고, 과제 수행 과정·성과·평가 결과를 공개하는 '공개경쟁형' 사업이다.
|
내년부터 신규 과제로 공모될 추가 지정 사업들은 기존 사업들과 마찬가지로 실패를 두려워하지 않고 고위험·도전형 연구를 적극적으로 추진하기 위한 맞춤형 제도적 지원을 받게 된다.
연구시설·장비를 도입할 때 수의계약을 통한 신속 도입이 가능해져 기존 120일 이상 걸리던 도입 기간이 약 50일로 단축되며, 과제 최종 평가 시에는 성공·실패의 구분 없이 과정 중심 평가 체계를 적용받게 된다. 또 우수한 성과에 대해서는 공모 절차 없이 후속 연구 추진을 허용하여 산업적 파급효과를 극대화하고, 과감한 도전으로 발생한 정당한 시행착오에 대해서는 제재 처분 없이 종료가 가능하다.
향후 APRO R&D 사업군에 대해서는 총괄관리자에게 연구 관리의 전권을 부여하고 책임 있는 운영을 위해 관련 법령을 개선한다. 그 일환으로 연구관리 전권 부여(대행→위탁)를 위한 국가연구개발혁신법 개정 추진 중에 있다. 이와 함께 역량진단 모델 마련, 교육 프로그램 운영 등 체계적인 육성 정책을 지속할 계획이다.
박인규 과기부 과학기술혁신본부장은 "기술패권 경쟁 시대에 국가 미래 생존과 번영을 위해서는 연구자들이 실패를 두려워하지 않고 고난이도 연구에 자유롭게 도전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야 한다"며 "혁신도전형 APRO R&D 정책 추진을 통해 연구현장의 애로사항을 해소하고 도전적 R&D를 활성화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