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월 연준 의장 "노동 공급·수요 둔화 특이한 균형 상태"
"경기 침체시 연준 기준금리 대폭 인하 필요"
|
WSJ은 이같이 전하고, 이러한 상황은 해고가 상대적으로 조금만 증가해도 일자리 감소로 이어질 수 있어 이 과정이 일단 시작되면 되돌리기 어려울 수 있다고 경고했다.
◇ WSJ "미 저해고·저고용 상태 지속, 소폭 해고에도 일자리 감소 현상 불가역 가능성"
파월 연준 의장 "노동 공급·수요 둔화 특이한 균형 상태"
실제 미국 노동부가 지난 1일 5~6월 일자리 증가 폭이 기존 추정치 대비 25만8000명이나 감소한 3만3000명에 불과했다고 발표한 이후 이러한 가능성에 대한 우려가 표면화되고 있다.
이는 제롬 파월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의장이 22일 미국 와이오밍주 잭슨홀에서 열린 '잭슨홀 심포지엄' 기조연설에서 인플레이션이 연준 목표치인 2%를 상회하고 있지만, 다음달 16~17일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에서 현재 4.25∼4.50%인 기준금리를 하향할 수 있다고 시사한 이유다.
파월 의장은 월별 일자리 증가율 둔화와 관련, "노동의 공급과 수요 모두가 크게 둔화하면서 발생한 '특이한 종류의 균형(curious kind of balance)' 상태"라며 "급격한 해고와 실업률 상승이 빠르게 나타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실제 6월 미국 전체 고용에서 고용률은 3.3%로 고용시장이 회복세를 보였던 2021년 11월의 4.6%뿐만 아니라 코로나19 팬데믹(대유행)이 최고조에 달했던 2020년 2월 3.9%보다 낮다.
기업들이 노동자들을 대량 해고하지 않아 6월 전체 고용에서 차지하는 해고율이 약 1%로 2021년 고용시장이 호황을 누렸을 때 기록한 사상 최저치인 0.9%와 비슷한 수준이다.
|
경제학자들은 불확실한 시기에 노동자를 내보내지 않으려는 현상을 '노동력 비축(labor hoarding)'이라고 규정하고, 이러한 저고용·저해고 현상은 일부 미국인의 일자리 전망을 어둡게 한다고 WSJ은 지적했다.
젊은 층은 고용시장 진입에 어려움을 겪고 있고, 직업을 자주 바꾸는 빈곤층 노동자의 임금 상승률이 현저히 낮아졌으며 더 많은 사람이 일자리를 찾는 데 최소 반년 이상 더 많은 시간을 보내고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고용 부진은 부분적으론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고율 관세 정책으로 인한 불확실성 때문에 일부 기업이 신규 채용 계획을 세우기 어려워졌거나, 연준이 지난해 경제를 냉각시키기 위해 기준금리를 급격하게 인상했기 때문이거나, 팬데믹 이후 일부 기업이 과잉 고용을 했기 때문일 수 있다고 WSJ은 분석했다.
이처럼 신규 고용이 매우 낮은 상황에서 해고가 조금만 증가해도 미국 경제에 대한 타격은 심각해질 수 있다.
6월 약 160만명이 해고됐을 때 약 1%의 해고율이 팬데믹 직전인 2020년 2월의 역사적으로 낮은 수준인 1.3%로만 상승해도 경제가 이를 흡수하기 어려울 것이라고 WSJ은 진단했다.
파월 의장의 수석 고문을 역임한 존 파우스트 존스홉킨스 금융경제센터 연구원은 "실직의 벼랑 끝에 가까워지면 사태가 급락하는 상황에 빠지는 데 그리 긴 시간이 걸리지 않는다"고 경고했다.
경제가 일자리를 잃기 시작하면 기업과 소비자들이 위축되고, 해고가 누적돼 경기 침체에 빠지는 상황이 발생하면 연준이 금리를 큰 폭으로 인하해야 할 필요가 있다고 WSJ은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