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객 다각화 박차
ESS 등으로 제품 포트폴리도오 확대
흑자 전환 후 수익성 회복 전념
|
킴롱모터스는 28일(현지시간) 베트남 후에시에서 LG에너지솔루션과 전기버스용 원통형 배터리 셀 공급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협약에 따라 LG에너지솔루션은 킴롱모터스가 생산하는 장거리 노선 전기버스에 고성능 원통형 배터리를 공급한다.
이번 계약으로 LG에너지솔루션은 안정적인 신규 고객을 확보함과 동시에 아시아 신흥 전기차 시장 내 입지를 확대할 수 있게 됐다. 킴롱모터스 역시 고품질 배터리 공급망을 안정적으로 확보할 수 있게 됐다.
르 꽝 닷(Le Quoc Dat) 킴롱모터스 이사회 부회장은 "배터리는 전기차의 심장"이라며 "세계 최고 수준의 배터리 기업인 LG에너지솔루션과 협력해 안정적인 공급망을 확보하고, 비용과 품질 관리 체계를 강화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 "이를 통해 '메이드 인 베트남' 전기차의 경쟁력을 끌어올리고, 베트남이 아시아와 세계 청정에너지 산업의 중심지로 도약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킴롱모터스는 운영비 절감을 위해 전기버스 생산 비중을 늘리고 있다. 전기버스는 초기 구매 비용은 다소 높지만, 연료비와 유지비가 상대적으로 저렴해 장거리 운행이 많은 베트남 운송업계에 적합하다. 하지만 고온다습한 기후와 긴 주행 거리를 감안하면 배터리 안전성과 내구성이 핵심이다. 업계에서는 LG에너지솔루션이 니켈·코발트·망간(NCM) 배터리 기술력을 인정받아 수주로 이어졌다고 분석한다.
베트남 정부도 온실가스 감축과 대기질 개선을 위해 전기차 전환 확대를 지원하고 있어 향후 관련 시장은 더욱 커질 전망이다. LG에너지솔루션으로서는 이번 계약을 교두보 삼아 아세안 전기차 시장 공략에 속도를 낼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LG에너지솔루션은 최근 전기차 수요 둔화와 배터리 가격 하락으로 수익성이 악화되자 고객군과 지역을 다변화하는 전략을 적극 추진 중이다. 이번 베트남 진출로 북미·유럽 등 기존 주요 시장을 넘어 아시아 신흥국으로까지 활동 반경을 넓혔다.
현지 언론 보도에 따르면 LG에너지솔루션은 한국 정부의 공적개발원조(ODA) 자금을 활용해 베트남 푸토성에 전기이륜차 배터리 공장과 충전 인프라 구축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LG에너지솔루션은 앞서 중국 체리자동차와 46시리즈 원통형 배터리 공급 계약을 맺은 바 있다. 중국은 자국산 배터리 선호도가 강한 시장이지만, 글로벌 경쟁력을 인정받아 수주에 성공했다는 점에서 업계의 주목을 받았다.
또한 전기차 배터리뿐만 아니라 에너지저장장치(ESS)용 배터리 생산도 확대하고 있다. 최근에는 테슬라로 추정되는 북미 지역 주요 고객사와 6조원 규모 공급 계약을 체결, EV 배터리 라인을 ESS용으로 전환하며 현지 양산을 강화하고 있다.
이 같은 성과에 힘입어 LG에너지솔루션은 지난 2분기 세액공제를 제외하고도 6개 분기 만에 흑자 전환에 성공하며 수익성 개선 흐름 기대감을 높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