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우주청, ‘미래 우주경제 주춧돌사업’ 착수…“기술자립 실현”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w.asiatoday.co.kr/kn/view.php?key=20250829010014783

글자크기

닫기

서병주 기자

승인 : 2025. 08. 29. 14:00

'수입 의존' 소자급 우주부품 6종 국산화 개발 목표
국내 장비 통한 우주방사선환경 시험방법 개발도
2025071601001525800090861 (1)
우주항공청 사천 임시청사 전경./우주항공청
우주항공청이 국내 기술자립을 목표로 하는 사업에 돌입, 우주산업 시장 확대에 기여한다.

우주청과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은 올해 신규 추진 사업인 '미래 우주경제 주춧돌사업'에 대한 착수회의를 29일 개최했다.

주춧돌사업은 '소자급 우주부품 국산화 개발'과 소자에 대한 '우주방사선 환경 시험방법 개발'을 목적으로 추진되는 사업으로, 사업 시행계획에 따르면 올해부터 2029년까지 5년간 총 225억원의 사업비가 투입된다.

소자급 우주부품 국산화 개발은 현재 전량 수입에 의존하는 우주부품에 대한 기술 자립을 위해 우주급 핵심부품 6종(수동소자 3종, 능동소자 3종)을 양산공급 단계까지 개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우주방사선환경 시험방법 개발은 소자?부품의 우주 활용을 위한 환경시험(양성자 및 중이온 기반의 우주방사선 환경 시험)이 국내에서도 수행 가능하도록 국내 가용 장비를 활용해 시험방법을 개발하는 것이 목표다.

그중 올해부터 개발이 시작되는 소자급 우주부품 3종(D-sub 커넥터, 적층 세라믹 캐패시터(MLCC), 온도보상 수정발진기(TCXO))과 우주방사선 환경 시험방법 개발 2개 과제(양성자 기반, 중이온 기반)에 대한 공모가 지난 7~8월 이뤄져 8개의 수행기관이 선정돼 개발에 참여할 예정이다.

D-sub 커넥터는 연합정밀㈜이, MLCC는 삼화콘덴서공업, TCXO는 파스전자㈜와 ㈜엠아이디가 개발에 참여한다. 우주방사선환경 시험방법 개발 중 양성자 기반은 한국원자력연구원(KAERI)과 한국산업기술시험원(KTL), 중이온 기반은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과 큐알티가 개발에 참여한다.

한창헌 우주청 우주항공산업국장은 "주춧돌사업을 통해 소자급 우주부품에 대한 해외 공급 위험도를 완화시키고, 핵심 부품에 대한 기술자립을 통해 국내 우주산업 시장 확대에 기여할 것"이라며 "앞으로도 우주산업의 성장과 발전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우주청은 지난해 종료사업인 '우주개발 기반조성 및 성과확산 사업'을 통해 총 8종(능동소자 2종, 수동소자 6종)의 소자급 우주부품을 국산화해 현재 양산공급이 가능하다는 설명이다. 개발 완료된 소자 8종은 11월 발사 예정인 누리호 4차의 우주검증위성 1호에 탑재돼 우주검증이 지원될 예정이다.
서병주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