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KT 우면연구센터에서 열린 이번 워크숍은 KT 기술혁신부문장 오승필 부사장과 AI 퓨처 랩장 배순민 상무, 서울대학교 AI연구원 장병탁 교수, KAIST 김재철AI대학원의 김기응 교수 등 100여명이 온·오프라인으로 참석했다.
서울대와 KAIST는 각 기관의 전문성과 연구 역량을 기반으로 역할을 분담해 공동 연구를 수행할 방침이다. KT는 GPU와 AI 모델, 데이터 등 연구에 필요한 환경과 자원을 제공한다. 특히 '믿:음 2.0' 등 자사 한국적 AI 모델 라인업을 적극 활용해 연구의 실행력을 높인다.
서울대는 인간 중심 신뢰 기반의 AI 핵심 기술 고도화를 위해 △자율형 에이전트를 위한 강건한 컨텍스트 추론 △인간 피드백 강화학습 프레임워크 등을 중점적으로 연구한다. KAIST는 프롬프트 압축 및 최적화 기술을 통해 대규모 언어모델의 효율성과 정확도를 높이는 핵심 기술 개발에 집중한다.
KT는 공동 연구를 통해 확보한 핵심 기술을 자사 파운데이션 모델 믿:음 2.0의 고도화와 자율형 에이전트, 책임있는 AI 등 한국적 AI 라인업 강화에 적극 활용할 계획이다. 또 공공, 법률, 금융, 교육, 의료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 적용해 데이터-모델-서비스로 이어지는 정교한 AI 협력 생태계를 구축한다.
오승필 KT 기술혁신부문장은 "이번 산학은 KT가 반드시 해결하고자 하는 핵심 문제들을 중심으로 사업에 빠르게 적용 가능한 과제들로 구성해 실질적인 협력이 기대된다"며 "AI 기술이 언제 어떻게 바뀔지 예상하기 어려운 상황에서 국내 AI 산업 전반에도 긍정적인 파급 효과로 확산될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