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소비자보호 재차 강조…채무조정·금리인하요구권 안내 주문
|
이찬진 금감원장은 4일 오전 서울 마포구 저축은행중앙회 본사에서 열린 11개 저축은행 최고경영자(CEO) 간담회에서 이 같이 밝혔다. 이 원장은 "지역 경기 활성화와 서민 경제 회복이 어느 때보다 절실하다"며 "저축은행이 신속히 건전성을 회복해 서민과 중·저신용자에 대한 자금 공급을 원활히 수행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 원장은 저축은행업권의 부실을 초래했던 부동산 PF 부실 사태에 대해 "금융소비자에 대한 고려보다 단기 수익성에만 치중한 결과"라고 지적했다. 이어 저축은행이 채무조정요청권, 금리인하요구권 등 소비자 친화적 제도를 적극 홍보해 서민과 영세 자영업자가 실질적으로 혜택을 누릴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최근 상호금융권에서 빈번히 발생하는 금융사고와 관련해 내부통제 강화 필요성도 거듭 강조했다. 특히 이달부터 예금자보호 한도가 상향되면서 저축은행 거래금액이 커진 만큼, 금융사고 발생 시 피해 규모가 확대될 수 있다는 점을 짚으며 보안 시스템 보완과 기술적 관리 강화를 요구했다.
저축은행의 본연의 역할인 서민금융 활성화의 필요성도 언급했다. 이 원장은 "그간 저축은행이 양적 성장과 단기 수익에 치중한 나머지 고위험 부동산 대출에 치중한 측면이 있었다"며 "앞으로는 지역 내 서민과 소상공인 자금 공급에 집중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금감원도 서민금융 확대를 위한 제도적 인센티브를 마련하겠다"고 덧붙였다.
부실 PF 정리와 관련해서도 "대내외 경제 불확실성이 여전한 만큼 하반기에도 건전성 관리에 힘을 기울여야 한다"며, 건전성에 대한 우려가 불식되면 저축은행업권의 숙원사항인 영업규제 완화 논의에 속도를 내겠다는 뜻을 내비쳤다. 이를 위해 각 저축은행들이 충분한 대손충당금 적립과 자본 확충을 통한 손실흡수 능력을 최대한 확보해줄 것을 당부했다.
저축은행 CEO들은 정부 기조에 맞춰 포용적 금융을 확대하고 서민들의 금융 애로 해소에 적극 나서겠다고 화답했다. 이와 함께 영업 경쟁 심화와 성장동력 약화 등 경영 여건의 어려움을 호소하며, 금융당국의 정책적 지원과 제도적 뒷받침을 요청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