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기부, '바이오 혁신 토론회' 개최
이번 토론회는 다양한 바이오 의약기업들의 의견을 수렴하기 위해 대기업, 중견기업, 중소·벤처기업, 벤처캐피털 등 기업 대표들과 관련 협회·단체, 학계 등 전문가들이 참석했다. 토론에 앞서 부처합동으로 마련한 '케이 바이오 의약산업 대도약 전략'을 발표했다.
글로벌 의약품 시장 규모는 반도체의 3배 수준으로 지속 확대 중이며 특히 바이오 의약품은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최고 수준의 위탁개발생산(CDMO) 역량과 바이오시밀러 블록버스터(연 매출 1조 원 이상)를 보유하면서 바이오 의약품 수출 세계 10위권에 진입했다.
정부는 '케이 바이오 의약, 글로벌 5대 강국 도약'을 비전으로 2030년까지 바이오 의약품 수출 2배 달성, 블록버스터급 신약 3개 창출, 임상시험 3위 달성을 목표로 하고 있다. 우선 혁신을 촉진하는 수요자 체감형 규제로 대전환한다.
신기술을 활용한 의약품이 출시되도록 필요한 규제를 지원하고 바이오시밀러 임상 3상 요건을 완화한다. 허가 심사에 인공지능(AI)을 활용하고 심사 인력을 대폭 확충해 심사 기간을 약 4개월 단축하고 허가·급여평가·약가협상 동시 진행을 2027년까지 제도화해 건강보험 등재 기간을 대폭 줄인다.
기술·인력·자본을 연계해 혁신 성장을 가속한다. AI 기반 신약 개발, AI·로봇 기반 자동화 실험실, 유전자·세포치료 등 기술 개발을 지원해 AI 바이오 의약기술 대전환을 추진한다. 한국인 100만 명 바이오 빅데이터를 구축하고 통합·공유하는 플랫폼도 고도화한다. 현장 실전형 핵심 인력을 11만 명 양성하고 신약 개발 전 주기에 걸쳐 바이오 의약 투자 시장 활성화에 필요한 정부 펀드도 확대한다.
앵커·바이오텍 기업의 동반 성장으로 글로벌 경쟁력을 강화한다. 위탁개발생산(CDMO) 등 바이오 제조 초격차 확보를 위해 인프라·금융·세제·인력 등을 총력 지원하고 소부장 국산화율을 높인다. 오픈이노베이션을 통해 바이오벤처 원천기술이 완제품까지 이어지도록 성장(스케일업)을 지원한다.
중기부 관계자는 "이번 토론회를 통해 수렴한 의견을 반영해 '케이 바이오 의약산업 대도약 전략'을 추진하고 기업의 애로사항을 해결하기 위해 관련 정책이나 규제를 개선하겠다"며 "바이오 의약산업이 미래 핵심 성장동력 사업으로 성장하게 민·관의 역량을 결집해 총력을 다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