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71% 비서울 소상공인 졸업
|
7일 쿠팡에 따르면 2020년 1360여곳이던 소상공인 졸업업체(연매출 30억원 이상 업체)는 2022년 1900여곳, 2023년 이후 매년 2000여곳 이상으로 늘며 지난해까지 누적 1만개를 돌파했다. 졸업업체들의 지난해 연간 거래액도 2022년 대비 65% 성장했다. 같은 기간 국내 소상공인 평균 매출이 전년 대비 6% 감소한 것과 대조를 이룬다. 한국신용데이터에 따르면 2024년 국내 소상공인의 분기별 합산 연 평균 매출은 1억7958만원에 그쳤다.
지역 편중 완화 효과도 두드러졌다. 연매출 30억원을 달성한 업체 10곳 중 7곳 이상이 비서울 지역에서 나왔으며 거래액 기준으론 비서울 지역 업체 비중은 80%에 달했다. '식품' '뷰티' '가전' '생활용품' 등 다양한 업종의 지역 업체들이 쿠팡을 통해 전국 시장으로 진출한 셈이다.
성장 사례도 이어지고 있다. 땅콩버터 브랜드 '슈퍼너츠'는 2023년 매출 30억원을 넘은 뒤 지난해 쿠팡에서만 66억원의 매출을 기록했다. 생활용품 브랜드 '아리코'도 쿠팡 물류망과 데이터 기반 인사이트를 활용해 연매출 30억원을 돌파했다.
쿠팡은 '물류 인프라' '인공지능(AI) 기반 상품 추천' '광고·프로모션' 등 다양한 지원책을 통해 소상공인 성장을 뒷받침하고 있다. 특히 2022년 출범한 '착한상점'은 지역 특산품과 중소기업 제품 판로를 넓히며 지난해 누적 매출 3조원을 돌파했다. 2023년 1조원을 기록한 후 단 1년만의 성과다.
서용구 숙명여대 교수는 "쿠팡을 통한 소상공인의 디지털 전환은 작은 업체들의 미래 성장 가능성에 중요한 동력이 되고 있다"고 말했다.
쿠팡 관계자는 "앞으로도 물류·마케팅 지원을 강화하고 유관 기관 및 지자체와 협업을 확대해 소상공인들에게 새로운 기회를 제공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