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현희 3대특검 종합대응특별위원회(3대특검 특위) 총괄위원장은 이날 오전 국회에서 열린 전체회의에서 "이미 드러난 상황만 해도 특검의 수사 인력이나 기간으로 수사하기에 부족할 정도"라며 "내란의 확실한 종식, 국정농단에 대한 확실한 단절을 위해 '더 센' 특검법이 필요한 상황"이라고 말했다.
전 총괄위원장은 "3대특검의 활발한 수사로 국민이 정치적 효능감을 느낀다"면서도 "3대특검법을 제정할 때 예측하지 못했던 많은 의혹들이 화수분처럼 계속 늘어나고 있다"라고 우려했다.
전 총괄위원장은 국민의힘을 향해 수사를 방해하고 있다며 날 선 비판을 쏟아냈다. 전 총괄위원장은 "내란수사와 내란 종식을 방해하는 국민의힘의 행태도 여전히 진행 중"이라며 "기존 특검법에 내란수사를 방해하는 행위에 대해 엄정하게 처벌하는 규정이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특검수사를 방해하는 행태를 서슴지 않고 있다"라고 비판했다.
전 총괄위원장은 최근 논란이 커지고 있는 '건진법사 관봉권 띠지 분실사건'과 관련해선 "검찰 정치공작의 한 단면"이라고 꼬집었다. 전 총괄위원장은 "사안을 자초한 검찰이 아니라 별도의 독립된 특검 혹은 상설특검 의해서 진상규명을 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김병주 위원장도 '건진법사 관봉권 띠지 분실사건'에 연루된 검사들과 수사관들을 파면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 위원장은 "정치자금법 위반 혐의와 결정적 증거를 임의로 폐기했다는 사실만으로도 직무태만이며 직무유기"라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선택적 기억 상실증의 수사관들과 증거를 훼손하고도 보고 하지 않은 검사들에게 수사를 맡겨선 안 된다"라며 "특검과 상설특검 등 엄정한 수사로 범죄 조작 은폐를 막아야 한다"라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