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광역 SOC 분야, 글로벌 게이트웨이 구축
미래전략산업 분야, 듀얼 산업벨트 형성
문화·관광 분야, 글로벌 관광클러스터 조성
|
양 시·도는 9일 군위군 삼국유사테마파크에서 '대구·경북 공동협력 방향과 전략과제 토론회'를 공동 개최했다.
이번 토론회는 지난달 출범한 대구·경북 공동협력 T/F를 통해 발굴된 중점 협력사업을 놓고 전문가와 시민단체의 의견을 수렴하기 위해 마련됐다.
대구·경북 기획조정실장을 비롯해 실·국장, 지방시대위원회 위원, 학계·연구원, 시민단체 대표, 언론 등이 대거 참석해 협력과제의 추진 방안과 정부 정책 연계 가능성 등을 심도 있게 논의했다.
토론회에서는 초광역 SOC, 미래전략산업, 문화·관광 등 3대 분야에서 총 18개 공동 전략과제가 제시됐다.
대구경북통합신공항을 중심으로 철도·도로·항만을 연계해 국가 초광역 교통·물류망을 조성하는 것이 핵심이다. 이를 위해 △대구경북통합신공항 메가 프로젝트 △영일만항 북극항로 거점항만 △대구·경북 대순환철도망 △동서횡단고속도로 △달빛철도 △대구권·동남권 광역철도 △안정적 물 공급과 관리 등 7대 과제가 제안됐다.
대구·경북의 주력산업과 미래성장산업을 연결해 국가성장을 견인할 듀얼 산업벨트 구축이 목표다. 주요 과제로는 △미래모빌리티 허브 △AX 데이터 스테이션 △반도체 혁신클러스터 △K-방산 복합체계 메가클러스터 △사용후 배터리 재사용 허브 △청정수소 에너지 허브 △바이오메디컬 융합벨트 △휴머노이드 로봇산업 클러스터 등 8개 사업이 포함됐다.
대구·경북 전역의 자연·역사·문화 자원을 활용해 세계적 관광지로 도약한다는 구상이다. △낙동강·금호강·백두대간 생태문화관광 클러스터 △포스트 APEC 글로벌 관광 허브 △역사문화 그랜드벨트 △'5한(五韓)' 한류 브랜딩 프로젝트 등 4대 과제가 논의됐다.
양 시·도는 이번 토론회를 계기로 민·관 협력 기반을 확대하고 속도감 있는 사업 추진을 위해 행정협의체를 구성할 예정이다. 필요할 경우 특별지방자치단체 설립도 검토한다는 방침이다.
김호진 도 기획조정실장은 "오늘 논의된 전략과제는 현장의 목소리를 담아낸 실천적 로드맵이 될 것"이라며 "정부정책과 발맞춰 대구·경북이 국가균형발전의 핵심 동력이 되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오준혁 시 기획조정실장은 "대구와 경북이 교통·산업인프라를 유기적으로 연결한다면 하나의 경제권으로서 성장 잠재력을 극대화할 수 있다"며 "이를 통해 수도권 중심 구조를 넘어서는 새로운 균형발전 모델을 제시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