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멕시코, 중국산 車에 최대 50% 관세…북미협상 대비 ‘통상 카드’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w.asiatoday.co.kr/kn/view.php?key=20250911010006231

글자크기

닫기

김도연 기자

승인 : 2025. 09. 11. 10:59

FTA 없는 교역국 상대로 관세율 50%까지 인상
자동차와 철강·가구 등 1400여 품목에 적용
중국·한국·인도 등 포함…美·캐나다는 예외
"트럼프식 보호무역"…USMCA 재협상 대비
MEXICO-GOVERNMENT-PRESSER
클라우디아 셰인바움 멕시코 대통령이 지난 4일(현지시간) 멕시코시티 국립궁에서 열린 기자회견에서 발언하고 있다./AFP 연합뉴스
멕시코 정부가 중국을 비롯한 일부 아시아 국가에서 생산된 자동차와 철강·가구 등 수입품에 최대 50%의 관세를 부과하기로 했다. 미국과 보조를 맞추면서 2026년 예정된 북미 3국 간 자유무역협정(FTA)인 미국·멕시코·캐나다 협정(USMCA) 재협상에 대비하려는 포석으로 풀이된다.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마르셀로 에브라르드 멕시코 경제장관은 10일(현지시간) "FTA가 체결되지 않은 국가에서 수입되는 1400여 개 품목에 대해 10~50%의 관세를 적용한다"고 밝혔다. 그는 "수입 가격이 기준선보다 지나치게 낮아 국내 산업 보호가 필요하다"며 "궁극적으로 일자리를 지키는 것이 목표"라고 강조했다.

관세 부과 대상 국가에는 중국·한국·인도를 비롯해 태국·인도네시아·러시아·터키 등이 포함된다. 미국·캐나다와 유럽연합(EU), 일본, 말레이시아, 베트남, 싱가포르 등은 기존 FTA로 인해 예외가 적용된다.

이번 조치가 발효되려면 의회의 승인이 필요하지만, 여당이 상·하원에서 안정적인 과반을 확보하고 있어 통과 가능성은 높다. 법안이 확정되면 관보에 게재된 지 30일 후부터 시행될 예정이다.

이번 조치는 멕시코가 최근 중국산 자동차 최대 수출국으로 떠오른 가운데,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대중(對中) 무역 압박을 강화하는 상황에서 미국 달래기 성격이 짙다는 분석이 제기된다.

멕시코 바뱅코 바세의 가브리엘라 실레르 경제분석국장은 "이번 결정은 트럼프식 보호무역 정책에 가깝다"며 "중국을 견제하는 북미 공동 전선을 구축하는 효과가 있다. 멕시코는 트럼프 행정부를 달래는 동시에 세수도 늘릴 수 있지만, 소비자와 제조업체 모두 비용 부담을 안게 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멕시코 자동차딜러협회(AMDA)의 기예르모 로살레스 회장은 "중국산 차량의 재고가 소진되면 가격 인상이 불가피하다"며 "시장 경쟁이 위축돼 소비자 선택권이 줄어들 것"이라고 우려했다.

중국은 지난해 멕시코와의 무역에서 710억 달러 흑자를 기록했다.

업계에서는 이번 조치가 멕시코가 북미 공급망에 더 밀착되는 계기가 될 것으로 본다. 다만 중국산 의존도가 높은 자동차·철강 등 주요 산업의 가격 상승과 물가 부담은 불가피할 전망이다.

결국 멕시코 정부는 미국과의 협상 테이블에서 유리한 고지를 확보하는 대신 자국 내 소비자와 기업의 비용 부담을 감수하는 '통상 딜레마'에 직면하게 됐다고 블룸버그통신은 짚었다.

김도연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