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감시설 주변 배수로에 퇴적물과 수풀이 덮여있어
|
22일 환경단체인 (사)환경과사람들과 주민 등에 따르면 국도 14호선에서 발생한 빗물이 여과되지 못한 채 인근 화포천으로 흘러들어 하천 수질 악화의 주요인으로 지목되고 있다. 화포천은 정부가 280억원의 세금을 투입해 비점오염원 중점 관리지역으로 지정해 관리하고 있지만 환경부와 국토부가 엇박자를 내고 있는 것이다.
아시아투데이가 지난 19일 현장을 확인해 본 결과, 국도 14호선 비점오염저감시설 대부분이 제대로 관리되지 않고 있었다.
|
특히 저감시설은 10mm 이상 비가 내리면 비가 그친 후 침전수를 배출하고 침전을 준설하는 등 관리를 해야 하지만 침전수와 퇴적물이 그대로 방치돼 여과 기능을 하지 못했다. 저감시설 윗부분에 사람 손으로 옮길 수 없는 중장비 부속품 등이 놓여 아예 상태를 확인할 수 없는 곳도 있었다.
비점오염저감시설이 관리 부실로 제 역할을 하지 못하게 되면서 화포천의 수질을 악화시키는 것은 물론, 저감시설에 퇴적물이 고여 악취를 풍기는 곳도 있었다.
(주)환경과사람들은 "국민 혈세가 투입되는 국책사업 현장에서 기본적인 유지관리조차 이뤄지지 않는 것은 심각한 직무유기"라며 "방치된 시설은 오히려 수질오염을 가중시키고 있어 정부 정책을 무력화시키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국도 14호선 관리를 맡고 있는 김해 국토관리사무소 관계자는 "국도 비점오염저감시설 관리에 대한 민원이 있어 시설을 점검하고 관리를 위한 용역을 발주한 상태"라며 "용역 결과에 따라 최소 1개월에 1회 이상 비점오염저감시설을 청소하는 등 관리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