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안정 초점…추석 이후 가계대출 추세 중요"
|
23일 한국은행 본부에서 열린 기자간담회 모두발언에서 황 위원은 "한은의 최종 목표는 물가 안정이지만, 법 제1조에 명시된 국민의 발전이라는 큰 틀을 고려해야 한다"며 "정부와의 정책 조율이 필요하되, 금리 결정의 독립성은 반드시 유지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책임을 두려워해 정책 제시를 주저해서는 안 된다"며 한국은행의 적극적 역할을 주문했다.
황 위원은 가계부채를 인하 논의의 최우선 변수로 지목했다. 그는 "한은은 집값 자체보다 금융안정과 직결된 가계부채를 걱정한다"며 "이미 자산 효과를 넘어선 수준이기 때문에 줄여야 하는 건 거스를 수 없는 과제"라고 말했다.
특히 6·27, 9·7 대책 등 정부의 수요·공급 대책 효과는 나타나고 있으나 일부 지역 집값 상승세가 확산될 경우, 추가 거시건전성 조치가 필요할 수 있다고도 했다. 달러당 1400원에 육박하는 환율과 관련해선 "과거 같으면 위기 수준이었겠지만 지금은 시장이 적응했다"며 "수준보다 변동성이 더 중요하다"고 평가했다. 이어 "거주자의 해외 증권투자가 외국인 자금 유입을 상회하고 있다"며 수급 요인의 중요성을 지적했다. 또 "외환당국의 대응 능력을 과소평가해선 안 된다"고 강조했다.
10월 금리 결정을 앞두고 황 위원은 "개인적으로는 금융안정에 조금 더 초점을 두고 싶다"고 밝혔다. 그는 "경기 둔화는 건설 부문을 제외하면 예상보다 크지 않다"며 추석 이후 가계대출 동향 등 추세 확인이 중요하다고 설명했다.
그는 "금리 인하 기조는 분명하다"며 "다만 중소기업·자영업자 지원은 필요하므로, 기준금리를 내리지 못할 경우 중앙은행 대출제도 같은 비전통적 수단을 병행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