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롯데가 추진하던 '투티엠 에코 스마트 시티'는 총면적 7만 4500㎡ 부지에 60층 규모의 타워를 중심으로 쇼핑몰·오피스·호텔·아파트 등이 들어서는 총 투자비 20조 1000억 동(약 1조 633억 원) 규모의 초대형 복합개발 프로젝트다. 롯데는 지난 2017년 7월 호치민시와 프로젝트 시행계약을 체결, 2022년 9월 초 프로젝트를 본격화했지만 핵심 선결 과제인 토지 가격 평가 및 관련 행정 절차가 8년 가까이 지연되며 사업은 첫 삽도 제대로 뜨지 못했다.
롯데 측은 결국 지난달 "지난 8년간 인내심을 갖고 기다렸지만, 정부의 감찰과 기약 없는 토지 가치 평가 지연, 계속되는 법률 정책 변경 등으로 프로젝트가 심각하게 지연됐다"면서 호치민시 인민위원회에 프로젝트와 관련된 모든 활동을 중단한다고 통보했다.
롯데가 최종적으로 사업 포기를 결심하게 된 결정적인 이유는 '지연 납부금' 문제였다. 현지 업계 관계자는 24일 아시아투데이에 "토지 가격 산정이 지연되는 동안 베트남의 관련 법규가 바뀌면서 롯데 측에 수조 동(수천억 원)에 달하는 지연 납부금까지 추가로 부과될 상황이 됐다"면서 "그 지연 책임이 롯데에 있는 것이 아닌데 롯데 입장에서도 납득하기 어려운 상황이었을 것"이라 말했다.
롯데의 프로젝트 철수 소식에 베트남 내에서도 자성의 목소리와 질타가 이어졌다. 지난 22일 열린 국회 상임위원회 회의에서 판 반 마이 국회 경제재정위원장은 "이번 사태로 투티엠의 황금 같은 땅이 또다시 수년간 방치될 처지에 놓였다"면서 "이 낭비보다도 더 큰 낭비는 베트남의 사업 환경과 투자자들의 신뢰에 막대한 손실을 입힌 것"이라 강하게 질타했다. 마이 위원장은 이 같은 사태의 재발을 막기 위해 책임자에게 더 많은 권한을 부여하는 과감한 법 개정이 필요하다고도 촉구했다.
발등에 불이 떨어진 호치민시도 해당 사안을 정부에 보고하며 사태 수습에 나섰다. 롯데의 사업 중단 통보를 받은 이후 호치민시 인민위원회는 총리실에 "롯데는 한국의 대표적인 그룹 중 하나로 이번 사업 철수가 호치민시의 투자 환경에 미치는 영향이 작지 않을 것"이라면서 롯데 측의 요구 조건을 수용하는 방안을 검토해 달란 요지의 보고서를 올린 것으로 알려졌다. 호치민시는 △롯데그룹 내 계열사 간 지분 조정 및 외부 투자자 유치(최대 35%) 허용 △문제가 된 토지 사용료 관련 규정의 조속한 개정 등을 총리실에 건의한 상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