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르포] “생산부터 시음까지 한 잔의 여정”…하이트진로 강원공장 가보니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w.asiatoday.co.kr/kn/view.php?key=20250924010013303

글자크기

닫기

이창연 기자

승인 : 2025. 09. 24. 12:00

국내 최대 규모…홍천강 옆 16만평 부지
자동화 라인…맛·품질의 균일함 보장
견학 공간…‘하이트진로 PARK’로 진화
KakaoTalk_20250923_161646055_01
하이트진로 강원공장에서 맥주 테라가 생산되고 있다./하이트진로
"촤르르륵."

유리병이 컨베이어 벨트 위를 쉴 새 없이 이동한다. 1초에 17병, 1분에 1000여병의 맥주가 병입되는 속도다. 병 세척, 주입, 밀봉, 라벨 부착까지 이어지는 전 과정은 외부와 철저히 차단된 무균 공간에서 진행된다. 기자가 찾은 하이트진로 강원공장은 그야말로 '맥주가 흐르는 공장'이었다.

지난 23일 방문한 하이트진로 강원공장은 총 대지 약 16만평, 건축연면적 3만평에 이르며 단일 규모로 국내 최대 맥주 생산공장이다. 연간 생산 규모는 50만㎘이며 상자로 환산하면 약 6500만 상자에 달한다.

하이트진로의 주요 맥주 브랜드인 '테라' '켈리' '필라이트'가 모두 이곳에서 탄생한다. 공장은 크게 '사일로(보리 저장 및 맥아 생산)' '담금실(맥즙 제조)' '여과실(발효·여과)' '제품동(병입·캔입 등)'으로 구성돼 있다. 견학로에 들어서자 구수한 맥즙 향이 코끝을 스쳤다.

KakaoTalk_20250924_114514192
하이트진로 강원공장./이창연 기자
맥주의 시작은 사일로에 저장된 보리다. 이곳에서 보리가 발아해 맥아로 바뀌면 분쇄 과정을 거친다. 분쇄된 맥아에 따뜻한 물을 더해 가열하면 단맛의 맥즙이 만들어지고, 이어 '자비' 과정에서 단백질과 쓴맛 성분이 분리된다. 이후 급속 냉각과 발효가 이어진다.

강원공장에는 총 108개의 저장 탱크가 있다. 한 개의 용량은 60만ℓ다. 성인 한 명이 하루 10병씩 마신다고 가정하면 330년간 소비할 수 있는 양이다. 한국에서는 발효·저장 기간이 최소 20일 이상으로, 유럽의 4일 안팎보다 훨씬 길다. 하이트진로 관계자는 "맥주의 깔끔한 맛과 향은 긴 숙성과 관리에서 나온다"고 강조했다.

맥주 원액이 완성되면 용기별로 다른 공정이 진행된다. 병, 캔, 페트병까지 생산 라인은 다양하다. 특히 병맥주의 경우 각지에서 수거된 병이 1분에 1000병씩 선별기를 통과한다. 폐쇄회로 카메라 6대가 동시에 작동해 스크래치나 변형이 있는 병을 걸러내고 문제없는 병은 35분간 고온 세척과 살균을 거쳐 완벽히 새 병처럼 태어난다.

최종 주입 과정은 외부와 철저히 분리돼 있다. 저온에서 담는 비열처리 맥주는 세균에 취약해서다. 이처럼 첨단 설비와 무인 자동화 라인이 균일한 맛과 품질을 보장한다. 현재 공장에서는 테라, 켈리, 필라이트 순으로 가장 많이 생산된다.

강원공장은 대규모 양조장임에도 친환경 설비를 앞세워 지역 환경 보전에 힘써왔다. 국내 최초로 열재생시스템(ERS)을 도입해 양조 과정에서 버려지는 열을 회수·재사용하며 홍천강 수질 보전을 위해 오폐수 처리에도 공을 들이고 있다.

김태환 품질관리팀 팀장은 "과거 지하암반수를 사용했지만 환경 규제로 중단된 이후 지금은 1급수 홍천강 물을 원료로 활용해 맛과 품질을 유지하고 있다"고 말했다.

하이트진로는 생산 현장을 단순한 제조 공간에 그치지 않고 소비자 체험형 공간으로 확장해왔다. 지난해 8월엔 '하이트피아'를 '하이트진로 PARK'로 새롭게 단장해 맥주 역사관과 홍보관, 시음 공간 등을 갖춘 체험형 공간으로 재탄생시켰다. 지금까지 누적 방문객은 약 1만2000여명에 이른다.

KakaoTalk_20250924_114635985_03
하이트진로 PARK 생맥주 시음장./이창연 기자
견학 코스는 홍보 영상 상영으로 시작해 원료 보관소, 담금실, 발효실, 제품동 등을 따라 진행된다. 마지막은 홍천강과 도둔산을 배경으로 갓 생산한 맥주를 시음하는 자리다. 신선한 맥주 특유의 청량감과 깊은 향이 방문객을 맞는다.

0924114859960707
360 라이브 저장고 미디어아트 체험관./이창연 기자
시음장 옆에는 이번 리뉴얼의 하이라이트라 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돼 있었다. 360도 파노라마로 구현된 '라이브 저장고 미디어아트 체험관'은 거대한 저장 탱크 안으로 들어온 듯한 몰입감을 선사했다. 발효와 숙성 과정을 빛과 영상으로 표현해 과학적 과정을 감각적으로 체험할 수 있었다.

KakaoTalk_20250924_114635985_05
하이트진로 굿즈 매장./이창연 기자
그 옆엔 기념 촬영 부스와 브랜드 굿즈를 구매할 수 있는 매장이 운영된다. 방문객은 기념 사진을 촬영할 수 있고 하이트진로 로고가 새겨진 소품이나 기념품도 구입할 수 있다. 눈길을 끈 것은 '쏘맥 자격증 체험존'이다. 방문객이 현장에서 스마트 기기를 통해 이름을 입력하면 즉석에서 개인 맞춤형 '쏘맥 자격증'이 출력돼 재미 요소를 더했다.

하이트진로 관계자는 "과거에는 독일, 일본 등지로 기술을 배우러 다녔지만 지금은 외국 양조 기술자들이 오히려 강원공장을 견학한다"며 "세계 양조 전문지에도 여러 차례 소개될 만큼 기술과 설비 면에서 세계적 수준"이라고 말했다. 실제로 강원공장은 컴퓨터 제어 시스템으로 전 공정을 통합 관리하는 스마트팩토리 수준의 운영을 이어가고 있다.
이창연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