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조현 “이-팔 분쟁, ‘두 국가 해법’이 유일한 길”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w.asiatoday.co.kr/kn/view.php?key=20250924010013339

글자크기

닫기

지환혁 기자

승인 : 2025. 09. 24. 12:58

조현 외교부 장관, 유엔 안보리 회의 주재
팔레스타인 문제·우크라이나 전쟁 관련 의제 논의
조 장관 "韓, 자신들 국가 세우려는 팔레스타인 열망 이해"
조현 외교장관, 우크라이나 안보리 브리핑 공식...<YONHAP NO-3452>
조현 외교부 장관이 23일(현지시간) 미국 뉴욕 유엔본부에서 열린 우크라이나 지역 안보리 브리핑 공식회의에서 안보리 의장 자격으로 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외교부
조현 외교부 장관은 이스라엘-팔레스타인 분쟁은 해결하기 위해서는 '두 국가 해법이 유일한 길'이라고 23일(현지시간) 강조했다. 조 장관은 "한국이 두 국가 해법을 통해 역내 평화와 안정을 구축하려는 국제사회의 노력에 적극 동참할 것"이라고 말했다.

조 장관은 이날 미국 뉴욕 유엔본부에서 열린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안보리) 회의를 주재하면서 팔레스타인의 국가 승인 문제를 회원국들과 함께 논의했다. 고위급 회의로 열린 이날 회의 조 장관은 "한국은 팔레스타인 국가를 승인하는 데 전념하고 있다"고 소개했다.

조 장관은 이날 미국 뉴욕 유엔본부에서 열린 안보리의 팔레스타인 문제 고위급 회의에서 "한국은 자신들만의 국가를 세우려는 팔레스타인 사람들의 열망을 깊이 이해한다"며 "안전하고, 지속 가능하며, 자유로운 인도적 접근이 즉시 보장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조 장관은 또 이스라엘의 가자 내 지상 작전 및 서안지구 정착촌 건설 재개에 심각한 우려를 표명하고, 조속한 휴전과 인질 석방을 위한 노력을 촉구했다.

팔레스타인 국가 인정 문제는 올해 유엔총회 고위급 회기에서 가장 첨예한 현안으로 떠올랐다.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은 전날 유엔총회장에서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이 2개의 주권국가로 공존하는 '두 국가 해법'을 논의하는 고위급 회의를 주재하면서 팔레스타인 국가 승인을 주장했다.

주요 20개국(G20) 국가 가운데 팔레스타인을 국가로 인정하지 않은 나라는 미국과 독일, 이탈리아, 일본, 한국 등 5개국이 남게 됐다. 한국은 지난 12일 유엔총회가 팔레스타인 문제의 평화적 해결 방안으로서 두 국가 해법의 이행을 지지하는 결의를 채택할 당시 찬성표를 던진 142개국에 합류했다. 다만 팔레스타인을 국가로 공식 인정하는 문제에 대해선 유보적인 입장이다.

마이크 왈츠 주유엔 미국대사는 "일방적인 (국가) 승인 성명들은 실제 벌어지는 현실을 바꾸지 않는다"며 "즉, 승인할 팔레스타인 국가가 존재하지 않는다는 사실을 바꾸지 못한다"라고 말했다. 가자지구에서 분쟁 중인 이스라엘은 이날 회의에 참석하지 않았다.

UN Security Council Israel Palestinians <YONHAP NO-1205> (AP)
조현 외교부 장관이 23일(현지시간) 미국 뉴욕 유엔본부에서 열린 제80차 유엔총회 안전보장이사회 고위급회의에서 팔레스타인 문제에 대해 발언하고 있다. /AP연합
이후 개최된 우크라이나 관련 회의에서 조 장관은 우크라이나에 대한 추가적인 지원방안을 계속 검토해 나갈 것이라는 입장도 밝혔다. 특히 조 장관은 북러 간 군사협력에 중대한 우려를 표했다. 조 장관은 북러 간 탄도미사일과 무기 이전, 병력 파견 등은 유엔 헌장과 안보리 결의를 명백한 위반한 사항이며 이는 전쟁을 장기화하며 한반도를 포함한 역내 안보에도 중대한 위협을 가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조 장관은 러시아와 북한에게 안보리 결의를 위반하는 모든 활동을 즉각 중단할 것을 강력히 촉구했다.

우크라이나 의제 회의에서는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이 직접 참석해 발언했다. 젤렌스키 대통령은 "평화를 이루기 위해 미국의 행동이 러시아를 압박하기를 기대한다"며 "모스크바는 미국을 두려워하고 항상 주목한다"고 말했다. 젤렌스키 대통령은 중국을 향해서도 러시아에 전쟁을 끝내라고 촉구해주길 기대했다. 젤렌스키 대통령은

우크라이나 의제 회의에서는 젤렌스키 대통령 외에도 체코, 슬로바키아, 핀란드, 에스토니아, 스페인, 룩셈부르크 등 다른 유럽 국가 대통령이나 총리가 참석해 발언했다.
지환혁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