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에 경기도는 현장 지원을 강화하기 위해 지난 8월 경기복지재단 내 돌봄통합지원단을 신설해 대규모 교육과 맞춤형 컨설팅 프로그램을 추진하고 있으며, 정례적인 운영회의를 통해 준비 상황과 정책 시행을 면밀히 점검할 예정이다.
시군 실무자 교육은 지난달 25일부터 이달 10일까지 총 6회에 걸쳐 진행했으며, 31개 시군에서 599명의 본청 및 읍·면·동 돌봄 담당자가 참여해 통합돌봄 분야에서 광역 단위 최대 규모의 교육성과를 달성했다.
교육 과정은 △돌봄 통합지원 이해 △통합판정체계 △통합지원 운영사례 △통합지원계획 수립 등 실무 핵심 역량을 중심으로 구성해 지난 18일과 19일 10개 시군을 대상으로 맞춤형 컨설팅을 실시했다. 통합돌봄 분야 전문가와 선도 시군 공무원이 함께 참여해 각 시군의 실행계획서 수립을 지원했다.
10월부터는 31개 시군의 과장급 관리자 교육과 직접 찾아가는 현장교육을 추가로 실시하며, 각 시군과 1:1 컨설팅단을 매칭하는 심화 컨설팅 등 맞춤형 지원을 실시한다.
또 도·시군 운영회의도 정례화해 본격적인 협의와 소통을 강화할 계획이다. 정례회의에서는 시군별 서비스 제공 기반 구축 현황, 돌봄 서비스 자원 확보 계획 및 현장의 준비 상황 등을 점검하며, 지역별 맞춤형 지원 방향과 정책 실행 과정에서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실질적 논의한다.
경기도는 이미 지난해부터 '누구나 돌봄' 서비스를 도입해 생활돌봄·동행돌봄·주거안전·식사지원·일시보호·재활돌봄·심리상담 등 지역사회 통합 돌봄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지난달 기준 누적 이용자가 2만5000명을 넘어서는 성과를 거두며, 경기도형 통합돌봄 모델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김해련 도 복지정책과장은 "돌봄통합지원법 시행까지 6개월 남은 시점에서 교육과 컨설팅, 자원 확보 등 현장에서 실질적 필요한 모든 준비를 빈틈없이 추진하고 있다"며 "모든 도민이 생애 전반에 걸쳐 안심할 수 있는 통합돌봄 환경을 완성해 촘촘하고 세심한 안전망을 구축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