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속가능 미래 도구 되도록 협력 주도"
![]() |
이재명 대통령이 24일(현지시간) 미국 뉴욕 유엔본부에서 열린 안전보장이사회 공개 토의에서 개회 선언을 하고 있다. /연합 |
이 대통령은 이날 유엔 안보리 의장국 대통령 자격으로 'AI와 국제평화·안보'라는 주제로 공개토의를 주재했다. 대한민국 정상이 유엔 안보리 공개 토의를 주재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회의에는 안보리 15개국 이사국을 포함해 다수 유엔 회원국 정상들이 참석했다.
이 대통령은 'AI 시대'를 기회로 만들기 위해 국제사회가 단합해 '책임 있는 이용'의 원칙을 바로 세우자고 촉구하고, 이 과정에서 AI 강국인 한국이 주도적인 역할을 하겠다고 천명했다.
이 대통령은 제프리 힌튼 교수의 "현재의 AI는 새끼 호랑이와 같다" 발언을 언급하며 "우리 앞의 새끼 호랑이는 우리를 잡아먹을 사나운 맹수가 될 수도 있고, '케이팝 데몬 헌터스'에 나오는 사랑스러운 '더피'가 될 수도 있다"고 말했다. 이 대통령은 이어 "유일하고도 현명한 대처는 국익을 위해 경쟁하되 모두의 이익을 위해 협력하는 것"이라며 "특히 안보리의 역할과 책임이 더욱 막중하다"고 덧붙였다.
특히 이 대통령은 이 자리에서 "국민의 기본적인 삶은 국가가 책임진다"는 '기본사회' 개념을 AI에 접목시킨 'AI 기본사회', 한국이 유엔총회 최초로 '군사 분야 AI' 결의안을 상정한 점, AI의 혁신이 인류의 번영에 기여하는 APEC AI 이니셔티브 채택 추진 등을 소개했다. 이 대통령은 "이런 과정을 통해 무엇보다 기술 발전의 혜택을 함께 누리는 'AI 기본사회' '모두의 AI'가 새로운 시대의 뉴노멀이 될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다"고 했다.
이 대통령은 이날 공개토의에 대해 대한민국이 '더 나은 세계'를 만드는데 앞장서고 있음을 보여주는 중요한 계기라고 평가했다. 이 대통령은 "유엔의 도움으로 전쟁의 폐허를 딛고 민주화와 경제 번영을 동시에 달성한 대한민국이, 이제 인류의 평화와 공동번영을 위해 막중한 역할과 책임을 다하고자 한다"며 "특히 전 유엔 회원국을 대상으로 처음 열리는 인공지능 주제 토론회라는 점에서 의미가 더욱 각별하다. AI라는 새로운 위협과 도전에 걸맞은 새로운 거버넌스를 모색할 시기"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