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 발달장애 청소년 야구단·부여 참전유공자 지원 등 성과
일본 12조 vs 한국 879억…세제 혜택·편의성 개선 과제
|
지난달 25일 서울시 마포구 공감만세 사무실에서 만난 고두환 공감만세 대표는 고향사랑기부제의 본질을 이렇게 규정했다. 단순히 세금을 보완하는 장치가 아니라, 국민이 직접 참여해 정책의 성패를 시험해보는 장(場)이라는 것이다. 고 대표는 "재정으로 감당하지 못하는 공백을 기부가 메우면서, 지자체가 새로운 실험을 시도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고향사랑기부제는 일본의 '고향납세'를 모델로 삼아 2023년 도입된 제도로, 개인이 주소지 외 다른 지역 자치단체에 연간 최대 2000만원까지 기부하면 세액공제와 답례품을 받을 수 있다. 기부금은 주민복리 증진과 지역 발전을 위한 사업에 쓰인다. 정부는 고향사랑기부를 통해 인구감소와 재정난에 시달리는 지자체를 지원하고, 지역경제를 활성화한다는 목표를 세웠다.
사회적기업 공감만세는 이 제도의 대표적 민간 플랫폼인 '위기브(WeGive)'를 운영하고 있다. 위기브는 자치단체와 기부자를 연결하는 창구로, 특히 기부자가 용처를 직접 선택할 수 있는 '지정기부'를 확산시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해왔다. 지정기부는 기부자가 원하는 사업이나 분야를 지정해 기부할 수 있는 방식으로, 고향사랑기부제의 참여율과 효능감을 높이는 핵심 요소다.
|
다만 제도의 성과에도 불구하고 아직 갈 길은 멀다. 일본의 경우 상위 20개 지자체가 각각 1000억원 이상을 모아 전체 모금액이 12조원에 달하지만, 한국은 지난해 879억원에 불과했다. 고 대표는 "일본은 자기부담금을 제외하면 기부액 전액을 공제한다. 우리도 공제 범위를 넓히고, 계좌이체나 자판기 기부 같은 방식으로 접근성을 높여야 한다"며 세제 혜택과 기부 편의성 강화를 최우선 과제로 꼽았다.
또 다른 과제로는 명칭 변경을 제시했다. 고 대표는 "고향사랑기부제라는 이름은 수도권 출신에게는 와닿지 않는다. 20~40대 절반 이상이 서울·수도권 출신인데 '내 고향은 서울인데?'라는 반응이 나온다. 오히려 '지역사랑기부제'가 제도 취지에 더 맞는다"고 말했다.
고 대표는 고향사랑기부제 답례품 선정 기준을 더 유연하게 열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일부 지자체가 외국산 가구나 수입산 식품을 선정해 비판을 받았지만, 그는 "중요한 건 원산지가 아니라 지역 기여성"이라고 말했다. 일본도 아사히 맥주 같은 대기업 제품을 지역 도가와 협업해 새롭게 만든 뒤 답례품에 포함한다는 것이다.
|
고 대표의 시선은 제도의 운영을 넘어, 국민이 주체적으로 참여해 변화를 만들어가는 과정 자체에 맞춰져 있다. 고 대표는 "고향사랑기부는 단순한 제도가 아니라 국민이 직접 참여해 변화를 만들어내는 실험장"이라며 "선택은 국민이 하고, 국민이 학습하며 어떻게 나아갈지를 볼 수 있는 플랫폼으로 키워가고 싶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