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용망 저주파수 활용 및 핸드오버 기술로 드론 작전 반경·시간 확대
|
SK텔레콤은 15일 펀진, 코난테크놀로지, 콘텔라, 플랙토리와 함께 '군 통신 중계 드론 솔루션 개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협약식은 서울 중구 SKT 남산사옥에서 열렸으며 나경환 SKT 엔터프라이즈솔루션본부장을 비롯해 각사 주요 임원이 참석했다.
통신 중계 드론은 전장이나 산악, 도심 등 통신 음영 지역에서 무선 중계기 역할을 수행하는 장비다. 정찰·공격용 드론이 지휘본부와 실시간으로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도록 신호를 이어주는 핵심 플랫폼으로, 작전 반경을 결정짓는 주요 요소다.
현재 군에서는 이음5G 주파수를 활용한 통신 중계 드론을 운용 중이나, 고주파수 대역 특성상 통신 거리가 짧고 장애물 회절성이 낮다는 한계가 있다. SKT와 협력사들은 이번 프로젝트를 통해 상용망의 800MHz 등 저주파수 대역을 활용해 전파 도달 거리와 회절성을 대폭 개선한다는 목표다. 이로써 통신 반경이 넓어지고, 산악지형이나 도심에서도 안정적인 작전 수행이 가능해질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복수의 드론 간 통신을 자동 전환하는 핸드오버(handover) 기술을 적용해 한 대가 격추되거나 통신이 끊기더라도 즉시 다른 드론으로 신호를 이어받을 수 있게 된다. 이를 통해 작전 안정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는 설명이다.
이번 협약에는 각 사의 전문 기술이 투입된다. SK텔레콤은 무선 회선과 핸드오버 기술, 실시간 영상 관제 시스템(T Live Caster)을 제공한다. 이를 통해 중계 드론이 촬영한 실시간 영상을 후방 조종사에게 즉시 전송할 수 있다.
먼저 국방 버티컬 AI 전문기업 펀진은 드론 무선 품질 측정과 AI 분석을 담당한다. 코난테크놀로지는 엣지 전술 장비를 기반으로 전장 상황 인식 기술을 지원한다. 콘텔라는 위성통신 기반 이동기지국을, 플랙토리는 미니PC 기반 이음5G 코어(core) 장비를 각각 제공한다.
김경덕 SK텔레콤 엔터프라이즈사업부장은 "이번 협약으로 군 통신 중계 드론의 작전 반경이 획기적으로 확대될 것"이라며 "상용망 기술을 군 통신 인프라에 접목해 국방 역량 강화에 기여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