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우원식 국회의장은 15일 국회 사랑재에서 개최된 '국회 사회적 대화 공동 선언식'에서 "사회적 대화가 국회와 현장을 연결하고 위기 극복에 역량을 쏟을 수 있게 유도하는 물길이 될 것"이라며 "국회의 기능을 하나 더 붙이고 사회적 대화의 역할을 한다는 국회의 제도 개혁까지 나아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번 사회적 대화 기구에는 노동계에서 민주노총과 한국노동조합총연맹(한국노총)이, 경영계에서는 한국경영자총협회(경총)·대한상공회의소·중소기업중앙회가 참여한다.
최태원 대한상의 회장은 "혁신을 가로막는 계단식 규제와 낡은 제도를 걷어내고 인공지능(AI) 전환의 속도를 높여야 한다"고 주장했다. 최 회장은 "노사가 밥솥을 깨뜨리지 않고 밥을 더 많이 지을 수 있는지를 고민하는 것이 우리의 의무"라고 했다.
노동계 양경수 민주노총 위원장은 "결과에 집착하기보다는 구동존이(공통점을 찾되 차이는 인정)의 자세로 차이를 좁히는 과정 자체에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며 "오늘이 노동자와 서민의 어려움을 해소하고 우리 사회가 직면한 위기를 슬기롭게 극복하는 자리가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김동명 한국노총 위원장은 "더는 사회적 대화의 결과가 정권에 따라 필요하거나 합의가 무용지물이 되는 과오를 반복해선 안 된다"며 "갈등과 대립을 넘어 상생과 협력의 정신으로 해법을 만들어 나가야 한다"고 했다.
정치권에서도 환영의 뜻을 밝혔다. 김병기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는 "노동자와 기업, 정부가 함께할 때 우리는 위기를 넘어 새로운 도약을 만들 수 있다"며 "이 자리가 지속 가능한 성장을 위한 포용과 통합의 출발점이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송언석 국민의힘 원내대표는 "다수당이 소수당을 공공연히 해산해야 한다고 말하는 상황에서는 대화해 나가기 굉장히 어렵다"면서 "사회적 대화만 하지 말고 정치적 대화도 잘해주기를 당부한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