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은 목표 아닌 과정…비전에 중심 둬야”
|
서 의장은 15일 서울 여의도에서 진행된 아시아투데이와의 인터뷰에서 "세계 모든 역사는 모두 비전을 에너지로 삼아 변해 왔다. 통일도 마찬가지로 비전이 있어야 되는 것"이라며 이 같이 밝혔다.
그는 특히 여권 일각에서 제기하는 '평화적 두 국가관계론'에 대해 "북한의 '두 국가관계론'을 우리가 왜 따라가느냐. 북한이 두 개 국가론을 들고 나온 것은 남한과의 체제 경쟁에서 실패했기 때문인데, 김정은이 두 개 국가론을 주장하면 우리가 두 개 국가론을 얘기해야 되느냐"라며 "그는 우리 민족의 운명을 결정할 권리가 없다. 우리가 제공하는 선택지를 북한이 따라오게끔 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어 "현 정부는 통일을 포기한 게 아니라 남북관계가 너무나 긴장 국면이기 때문에 일단 대화를 할 수 있는 신뢰 관계를 회복하자는 측면에서 대북 유화책을 쓰는 것이라고 설명하지만, 이로 인해 실질적으로 분단이 고착화될 수 있다"며 "미국 등으로부터도 두 개 국가론으로 의심받을 수 있는 정책을 가져가게 되면 의도와는 다른 결과가 초래될 수 있다. 남북 모두가 두 개 국가론을 이야기하면 국제사회도 굳이 통일을 지지할 필요를 못 느낄 것이고, 결국 분단 고착화로 가는 것"이라고 짚었다.
그는 "대북 정책은 좌우가 분열돼 정권이 바뀔 때마다 급변하지만, 이는 사실 과정과 방법에 대한 이야기"라며 "우리는 통일을 통해서 어떤 나라를 실현할 것이냐는 비전, 즉 항구적인 목표를 중심으로 통일 정책을 펼쳐 나가야 된다"고 설명했다.
또 통일 자체도 최종적인 목표가 아닌 하나의 과정으로 보고 비전을 중심으로 정책을 논의해야 한다고 했다. 서 의장은 "일각에서는 언어와 역사, 핏줄이 같으니 통일하자고 하지만, 그것만 가지고 통일하면 큰일이 난다"고 경고했다.
그는 "어떤 통일인지를 규정하지 않고 통일을 찬성하느냐 반대하느냐 물으면 이것은 잘못된 질문"이라면서 "통일을 통해서 어떤 나라를 실현할 것이라는 비전에 대한 정의를 명확하게 내려놓고 그런 통일을 찬성하는지 반대하는지 물어야 한다. 통일은 목표가 아니라 과정이고, 어떤 통일된 국가를 실현할 것이냐가 목표"라고 강조했다.
서 의장은 "통일을 통해서 어떤 나라를 실현해야 되느냐, 이 질문에 있어서 모든 사람들이 공감할 수 있는 답을 가지고 있어야 된다. 한국 사람들이 가지고 있는 하나의 이상이 무엇인지 역사적인 질문을 할 수밖에 없고, 그래서 홍익인간을 현대적인 의미로 해석을 해 볼 필요가 있다는 것"이라며 "홍익인간이라는 이상을 되살려서 우리 통일의 비전으로 삼아야 된다"고 했다. 또한 "이 비전을 전달하고 이 비전을 중심으로 국민들 차원, 풀뿌리 차원에서 만들어 나가는 게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서 의장은 북한 주민들에게도 비전이 전달돼야 한다고 했다. 그는 "이 비전을 전달하는 주체는 정부가 아니다. 정부는 수단이 많이 없고, 민간이 중심이 돼야 한다. 주도하는 주체가 누구냐, 민간이 돼야 된다"며 "통일부 대신 민간 통일기구를 만들어서 정치적인 영향력과 간섭에서 자유로운 기구로서 통일을 실질적으로 준비하고 '코리안 드림'을 확산하게끔 해야 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서 의장은 "저출산, 고령화 등 한계에 직면한 우리 사회의 모든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은 통일밖에 없다"며 "그것을 '코리안 드림'이라고 하는 비전을 중심으로 새로운 나라를 실현하는 기회로 만들어 나가자는 것"이라고 말했다.
향후 AKU의 활동 방향에 대해선 "이 풀뿌리 통일 운동을 더 강화해 나갈 것이다. 결국 정부는 국민들의 의지를 따라가게 돼 있다"며 "소셜 미디어 등을 중심으로 최대한 빨리, 효과적으로 국민들에게 다가갈 수 있도록 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