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올해 日누적 관광객 3,000만명 돌파… 韓관광경쟁력 시험대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w.asiatoday.co.kr/kn/view.php?key=20251016010005106

글자크기

닫기

최영재 도쿄 특파원

승인 : 2025. 10. 16. 14:42

한국 뒤처짐의 신호 , 무엇이 위험한가?
KakaoTalk_20251016_142751039
도쿄 젊은 문화의 상징거리인 시부야 역 앞, 이곳은 하루 50만명 이상이 오가는 세계에서 가장 붐비는 교차로다. 시부야구청은 세계 각국의 젊은 관광객들이 너무 많이 몰려들어 안전사고 예방을 위해 각별한 신경을 쓰고 있다./사진=최영재 도쿄 특파원


2025년 들어 일본을 찾은 외국인 누적 방문객 수가 3,000만 명을 돌파하며 팬데믹 이후 관광 회복 속도를 과시하고 있다. 하지만 일본의 관광폭주는 한국 등 아시아 경쟁국에게는 '뒤처짐'의 경고음이 될 수 있다. 일본과 한국의 관광 통계를 교차 분석할 때, 단순한 수치 이상의 경쟁 구조 변화가 감지된다.

◇일본, 팬데믹 충격 딛고 다시 비상
일본 정부관광국(JNTO)은 2025년 1~8월 누적 외국인 방문객이 약 2,838만 명을 기록했다고 발표했다. 8월 한 달만 해도 342만 8,000명으로, 전년 동기 대비 16.9% 증가하며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다. 이 추세를 감안하면 수요가 꾸준히 이어질 경우 연말까지 누적 3,300만~3,500만 명 도달 가능성도 거론된다.

일본 내에서는 엔화 약세, 국제 항공로 확대, 해외관광객 유치 경쟁력 회복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며 관광 붐을 이끌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특히 중국, 한국, 대만 등 동아시아 국가로부터의 방문객 회복세가 두드러진다. 지난 8월 기준 한국발 방문객만 해도 66만 900명으로 전년 대비 8.0% 증가했다. 이처럼 회복의 중심축에 한국–일본 간 이동 수요가 자리 잡고 있다는 점은, 한국 관광업계에도 직격탄이 될 여지가 크다.
KakaoTalk_20251016_142754193
도쿄의 시부야 구청이 외신기자들을 초청해 시부야 도심을 설명하고 있다. /사진=최영재 도쿄 특파원
◇한국, 양적 회복은 했지만 위력은 제한적
한국의 최근 관광 회복 흐름도 나쁘지 않다. 2025년 1분기 한국을 찾은 외국인 방문객 수는 3,870,247명으로, 전년 동기 대비 13.7% 증가했다는 통계가 있다. 이는 팬데믹 이전인 2019년 같은 기간 대비 0.7% 높은 수치이기도 하다. 또한, 2024년 기준 한국을 찾은 외국인은 약 16.37백만 명으로, 팬데믹 이전 대비 94% 수준까지 회복했다.

정부는 2025년 목표치를 1,850만 명으로 설정했다. 이는 전년 대비 약 13% 증가한 수치다.
하지만 이 회복은 양적인 복귀 수준이지 질적 경쟁력 회복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방문객 수가 늘었다고 해도 한국이 일본만큼의 체류 소비, 지방 분산, 재방문 유인력 면에서 경쟁 우위를 보인다는 근거는 아직 미약하다.

특히 일본이 관광 인프라, 문화 콘텐츠 연계, 지방 유치 전략에서 더 공격적인 행보를 보이고 있다는 점은 부담 요인이다. 일본 쪽 방문객은 도쿄·오사카 중심뿐 아니라, 홋카이도, 규슈, 시코쿠 등 지방 관광지로 분산되는 경향이 강하다. 반면 한국은 수도권과 제주 중심 수요가 압도적이어서, 지방 관광 활성화 기반이 아직 약세다.
KakaoTalk_20251016_142900749
시부야는 일본 스트리트 패션, 디지털 콘텐츠가 융합되는 젊은 문화벨트다. 사진은 끝없이 이어지는 시부야역의 에스컬레이트 / 사진=최영재 도쿄 특파원
◇콘텐츠 경쟁력, 정책과 인프라 격차
일본은 전통문화, 애니메이션·게임 콘텐츠, 철도 여행 루트, 지역 축제 등 다양한 테마를 엮어 관광 상품을 만든다. 한국은 한류 콘텐츠가 강점이지만, 관광지 연계와 체험형 콘텐츠로의 확장이 더디다는 평가가 있다.

일본 정부는 관광을 '국가 수출' 수준으로 취급하며, 지방 공항 활성화, 외국어 안내, 스마트 인프라 투자 등을 확대 중이다. 한국은 아직 관광을 부가 산업 차원에서 보며, 대규모 인프라 투자나 지방 중심 관광 전략 추진이 상대적으로 후순위다.

일본의 3,000만 돌파는 단순한 회복을 넘어 경쟁 우위 전환 신호일 수 있다. 한국 관광 업계와 정부가 잇따라 강조하는 것이 '회복'이었다면, 지금부터 강조해야 할 것은 '격차 해소와 우위 재창출'이다. 한일 관광사업을 30년 넘게 하고 있는 한 전문가는 △한국의 지방관광 활성화, △콘텐츠와 체험 연계 △비자완화, 관광세제 혜택 같은 정책적 뒷받침, △스마트 인프라 구축, △통합 관광 마케팅 등이 절실하다고 지적했다.


최영재 도쿄 특파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