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연합 |
트럼프 대통령은 31일부터 열리는 경주 APEC 정상회의 직전 이틀간 방문해 한·미, 미·중 정상회담을 가질 예정이다. 위성락 국가안보실장은 "(트럼프 대통령이) 29일 도착해 30일까지 (머무를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혔다. 그의 방한을 계기로 한 북·미 정상회담 가능성에 대해서는 "북·미 정상회담 가능성은 사실 알 수 없다"면서 "우리가 파악한 바로는 아직 그런 움직임은 없다"고 말했다. 강경화 주미대사도 트럼프 대통령과 김정은 위원장의 회담 가능성에 대해 "그런 조짐은 없는 상태"라고 일단 선을 그었다.
CNN은 이날 보도에서 트럼프 대통령이 2019년 트위터를 통해 만남을 제안하고, 48시간도 되지 않아 판문점에서 김 위원장과 악수한 사실을 거론했다. 돌발 회동에 대한 기대와 가능성을 염두에 둔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그 당시와는 다르게 현재 워싱턴과 평양 간 공식 소통 채널이 제대로 가동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실제로 올해 초에 미 정부가 김 위원장에게 서한을 보냈으나 북한은 이를 거부하며 회신조차 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북한이 김 위원장의 동선 노출을 극도로 꺼린다는 점에서 회동이 결정되면 직전에 공개할 가능성은 여전히 남아 있다. 또한 물리적으로 준비기간이 짧아 우리나라가 아닌 다른 곳에서 회동이 이뤄질 수 있다는 개연성도 제기되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이 김 위원장과의 회동에 관심을 보인 때는 지난 8월 이재명 대통령이 백악관을 방문한 이후라고 한다. 이 대통령은 그를 APEC 정상회의에 공식 초청하면서 "김정은과 만날 수 있는 절호의 기회"라고 말했고 트럼프 대통령은 "살펴보겠다"고 답했다. 그 후 우리 정부는 최근까지 관련 동향을 예의주시하고 있다는 입장을 밝혔다. 이런 정부의 입장은 우리가 실질적인 '키 플레이어'가 아닌 '단순 관찰자'에 머문다는 소극적 태도로 비춰진다. 위 실장이 남·북 정상회담 가능성에 대해 "미국과 북한 사이의 일"이라고 못 박은 것도 우려스러운 대목이다. 북·미 간 직접 소통이 재개될 경우 우리의 입장이나 국익이 자칫 뒷전으로 밀릴 수 있기 때문이다. 정부는 한반도 평화 구축의 직접 당사자가 바로 우리라는 점을 한시도 잊지 말고 대북 대화 등 한반도 현안에 늘 적극적으로 참여한다는 자세를 견지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