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의회 심의 거쳐 11월 26일 확정
|
이번 추경은 2025년도 마지막 추경으로 △중앙지원사업 변동분 반영 △7월 집중호우 피해 복구 △집행 불가능한 사업 및 잔여예산 정리 등을 중심으로 편성됐다.
이번 추경의 핵심은 지난 7월 중순 발생한 기록적인 집중호우 피해 복구 예산으로, 총 2269억 원이 반영됐다.
세부적으로는 △공공 및 사유시설·도로 복구비 1379억 원 △산림 피해지 복구비 215억 원 △농업 분야 복구비 115억 원 △집중호우로 인한 해상 유입 쓰레기 처리 13억 원 △하천 및 상·하수도 분야에 547억 원을 편성했다.
호우피해 복구 사업의 국비는 시급성을 고려해 대부분 의회의 사전 승인을 거쳐 추경 성립 전 예산으로 편성해 집행하고 있다.
도민의 생활 안정을 위한 예산도 확대됐다. 출산·양육에 따른 부모의 경제적 부담 완화와 영아기 돌봄 지원을 위한 △'부모급여 지원사업'에 150억 원을 증액 반영했고, 어린이집과 유치원의 균등한 교육 기회 보장을 위한 △3~5세 누리과정 보육료에도 70억 원을 증액 편성했다.
수산업 분야는 지속 가능한 수산자원 관리와 어업인 소득안정을 위해 △연근해어선 감척사업 74억 원, 영세 어업인 소득안정 도모를 위한 △소규모 어가 직불제 49억 원을 각각 증액했다.
또 대중교통 이용 활성화와 교통비 부담 완화를 위한 예산도 확대됐다. 청년 등을 대상으로 한 △대중교통비 환급 지원사업(K-패스) 37억 원, 어르신 등 교통 약자를 위한 △경남형 대중교통비 지원사업(경남 K-패스) 15억 원을 증액 반영했다.
박완수 경남지사는 "이번 추경은 재난 복구와 도민 생활안정을 위해 꼭 필요한 사업에 집중 편성했다"며 "신속한 예산 집행으로 도민의 생활안정과 민생경제 회복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