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오 처장은 21일 서울 여의도에서 열린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국정감사에서 이주영 개혁신당 의원의 질의에 이같이 답했다.
이 의원은 "무니코틴 담배 14종 중 13종에서 청소년 유해물 표시가 누락돼 있었고 대부분이 중국산 액상 수입제품인데 안전성과 성분 검증 체계가 없다"며 "청소년의 3분의 1이 액상형 전자담배로 흡연을 시작하고 60% 이상이 이후 궐련형으로 옮겨가는 만큼 무니코틴과 유사니코틴 제품에 대한 규제를 강화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오 처장은 "합성 니코틴에 대해서는 이미 분석법을 개발해놓은 상태"라며 "담배사업법이 개정되면 곧바로 시행될 예정"이라고 말했다.
이어 "합성 니코틴과 유사 니코틴을 동일한 규제의 틀 안에서 관리하는 것이 합리적"이라며 "통관단계 성분검사와 유해물질 관리 강화기준도 마련하겠다. 시험법과 분석기준을 선제적으로 개발해 새로운 합성물질에 대응할 계획이며 해외 규제 사례도 검토 중"이라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일부 국가는 이미 합성 니코틴과 유사 니코틴을 같은 체계로 관리하고 있다"며 "청소년 보호와 국민 건강을 위해 관계 부처와 협력해 실효성 있는 관리체계를 구축하겠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