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서방 발칸 6개국 정상, 런던서 회동…“이주·안보·러시아 영향력 대응 공조”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w.asiatoday.co.kr/kn/view.php?key=20251022010008238

글자크기

닫기

김도연 기자

승인 : 2025. 10. 22. 14:22

BRITAIN-ROYALS-DIPLOMACY-EU-ALBANIA-BOSNIA-KOSOVO-NMACEDONIA-SER
영국 찰스 3세 국왕(왼쪽)이 서부 발칸 정상회의 개막을 하루 앞둔 21일(현지시간) 런던 세인트 제임스 궁에서 열린 리셉션에서 흐리스티얀 미초스키 북마케도니아 총리와 인사를 나누고 있다./AFP 연합뉴스
영국 런던에서 22일(현지시각) 서부 발칸 6개국 정상들이 영국과 유럽연합(EU) 관계자들과 만나 이주 문제와 안보, 경제 협력 등을 논의했다고 AP통신이 22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러시아의 영향력이 여전히 남아 있는 불안정한 지역 정세 속에서 협력을 강화하기 위한 자리다.

이번 회의에는 알바니아, 보스니아, 코소보, 몬테네그로, 북마케도니아, 세르비아 대표단이 참석했다. 회담은 2014년 출범한 '베를린 프로세스'의 일환으로, 발칸 지역 국가들의 EU 가입 추진을 뒷받침하기 위한 협의체다.

현재 서부 발칸 국가 가운데 EU 회원국이 된 곳은 2013년 가입한 크로아티아뿐이다. 나머지 국가는 각기 다른 단계에 머물러 있으며, 특히 세르비아와 코소보 사이의 긴장은 여전히 이어지고 있다. 코소보는 2008년 세르비아에서 독립을 선언했지만, 세르비아는 이를 인정하지 않고 있다.

EU는 러시아의 2022년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신규 회원국 수용에 더 열린 태도를 보이고 있다. 전쟁의 여파와 러시아-서방 간 대립이 과거 분쟁의 상처가 남은 발칸 지역으로 번질 수 있다는 우려 때문이다.

EU를 탈퇴한 영국이 이번 연례회의를 주최한 것도 주목된다. 키어 스타머 총리가 이끄는 중도좌파 노동당 정부는 마약 거래와 인신매매, 불법 이주 문제를 비롯해 러시아의 개입을 차단하고 발칸 지역의 방위 능력을 강화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영국 정부는 최근 몇 년간 서부 발칸을 경유해 EU로 유입되는 이주민이 수십만 명에 달하며, 영국으로 도버 해협을 건너 들어오는 이주민의 약 4분의 1이 이 경로를 이용했다고 밝혔다.

영국은 2022년 알바니아와 공동 태스크포스를 구성해 불법 이주 문제 해결에 나섰다. 두 나라는 송환 협정과 현지 개발 사업을 병행해 영국으로 향하던 알바니아 출신 이주민 수를 2022년 1만2000명에서 2024년 600명 수준으로 줄였다.

영국은 또한 EU 국경관리청인 프론텍스(Frontex)와 협력하기 위해 현지에 법 집행관을 파견했으며, 난민 신청이 거부된 이들을 임시로 수용할 '리턴 허브(return hub)' 설치 방안을 추진 중이다.

하지만 알바니아와 몬테네그로는 난민 수용 허브 설치 제안에 부정적인 입장을 보였다. 에디 라마 알바니아 총리는 21일 런던의 채텀하우스에서 열린 강연에서 "그 허브든 뭐든 이름이 무엇이든 간에, 알바니아에 그런 시설은 절대 세워지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밀로이코 스파이치 몬테네그로 총리도 "우리나라는 철도 인프라가 미비해 발칸 이주 경로의 일부가 아니다"라며, "영국이 철도 건설에 100억 유로를 투자한다면 고려해 볼 수도 있다"고 밝혔다.


김도연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