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2일 캄보디아 프놈펜 현지 대사관에서 열린 국회 외교통일위원회 현장 국정감사에서 김현수 주캄보디아 대사대리는 "지난 2년간 신고된 550건 중 450건은 해결됐다"고 말했다.
주캄보디아 한국대사관이 해결됐다고 밝힌 450명은 현지 경찰에 구조되거나 스스로 탈출해 소재가 파악됐다. 김 대사대리는 "2023년 신고는 20명에 못 미쳤으나 지난해 220명과 올해는 8월까지 330명 등 폭증세"라고 밝혔다.
국감에서 여야 의원들은 주캄보디아대사관의 대처에 대해 질타했다. 현지 경찰 영사는 경찰관 3명과 실무관 2명이 업무를 모두 처리하기가 현실적으로 어렵다고 토로하기도 했다.
현지 경찰영사는 "올해 납치·감금 신고 건수가 330건으로 하루에 1.4건 밖에 안되지만 한 건 한 건마다 안내하고 대응하는 데 시간이 오래 걸린다"며 "(감금자가) 구조돼도 2∼3개월 (현지에서) 대기하는 동안 계속 안내해야 한다"고 말했다.
국민의힘 김석기 위원장은 "정부가 너무 안일하게 대응했고 무책임하다고 생각한다"며 "경찰 영사 한두명 추가 파견해 이 사태를 해결할 수 있느냐. 말이 안 되는 이야기"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대통령이나 총리가 캄보디아 총리와 직접 통화를 한 적이 있느냐"며 "당장 외교부 장관과 경찰청장이 캄보디아에 와서 (현지 당국자들을) 직접 만나야 한다"고 주장했다.
외교당국에 따르면 캄보디아에서 발생한 한국인 납치·감금 신고는 2021년 4건, 2022년 1건이었으나 2023년 17건을 기록한 뒤 지난해 220건으로 급증했다. 올해도 8월까지 330건으로 크게 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