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당 7만 달러 증가…"미래세대 부담 커질 것"
|
AP에 따르면 미 재무부는 이날 발표한 재정 보고서에서 미국의 총부채가 지난 8월 기준 37조 달러를 돌파한 지 불과 두 달 만에 38조 달러를 돌파했다고 밝혔다. 이는 코로나19 팬데믹 시기를 제외하면 1조 달러가 가장 빠르게 늘어난 것이다.
펜실베이니아대 '펜워튼 예산모형'의 켄트 스메터스 교수는 켄트 스메터스 펜실베이니아대 교수는 "정부 부채가 늘어날수록 물가가 오르고, 결국 국민의 구매력이 떨어진다"고 말했다.
미 회계감사원(GAO)은 부채 증가가 가져올 파급 효과로 △모기지·자동차 대출금리 상승 △기업 투자 여력 감소에 따른 임금 감소 △물가 상승에 따른 생활비 부담 확대 등을 지적했다.
트럼프 행정부는 정부 지출을 억제하고 재정적자를 줄이는 정책이 효과를 내고 있다고 강조한다. 재무부는 지난 4월부터 9월까지의 누적 재정적자가 4680억 달러로, "2019년 이후 가장 낮은 수준"이라고 밝혔다.
스콧 베센트 재무장관은 엑스(X·옛 트위터)에 "트럼프 대통령 취임 후 8개월 동안 적자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3500억 달러 감소했다"고 올렸다. 쿠시 데사이 백악관 대변인은 "행정부는 건전한 성장과 인플레이션 완화, 관세 수입 확대, 차입비용 절감, 낭비와 부패 근절을 통해 재정 건전성을 높여 나갈 것"이라고 설명했다.
의회 공동경제위원회는 미국의 국가부채가 지난 1년 동안 초당 약 7만 달러씩 늘어나고 있다고 추산했다.
피터 G. 피터슨 재단의 마이클 피터슨 회장은 "정부 셧다운 상황에서 부채가 38조 달러에 이르렀다는 것은 정치권이 기본적인 재정 책임조차 다하지 못하고 있음을 보여준다"고 비판했다.
그는 "부채가 늘면 이자 부담도 함께 커지는데, 지금은 이자비용이 예산 항목 가운데 가장 빠르게 증가하는 부분"이라며 "지난 10년간 이자로 4조 달러를 지출했지만, 앞으로 10년 동안은 14조 달러에 달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이자 지출이 늘어나면 미래를 위한 공공·민간 투자가 위축돼, 결국 모든 미국인의 경제에 부담을 주게 된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