쿠바인권감시소, 정부에 비상사태 선포 촉구
정부, 올해 뎅기열 인명 피해 사례 처음 인정
|
누에보헤럴드 등 중남미 주요 언론에 따르면 스페인에 본부를 둔 비정부기구(NGO) 쿠바인권감시소(OCDH)는 22일(현지시간) "쿠바에서 뎅기열, 치쿤구니야열, 오로푸치열 등 모기를 매개로 전파되는 3대 감염병이 유행하고 있다"며 쿠바 정부에 감염병 비상사태 선포를 촉구했다.
OCDH는 "수천, 수만명이 감염병에 걸려 발열, 근육통, 관절통, 황달, 설사, 구토, 피부 발진 등의 증상을 보이고 있다는 제보가 계속 접수되고 있다"며 "특히 노약자에게 심각한 결과를 초래할 수 있어 즉각적인 국가적 대응이 요구된다"고 강조했다.
관계자는 "한 동네 주민 전원이 감염 증상을 보이고 있다는 충격적인 제보도 받았다"며 "병원에 가도 의료품 부족으로 진단조차 받지 못하는 경우가 허다해 아예 병원 치료를 포기한 사람들이 많다고 한다"고 말했다.
현지 매체 디아리오 데 쿠바는 3대 감염병의 확산으로 국가 보건 시스템이 이미 붕괴하고 있다며 물자 부족이 심화하고 병원의 수용 능력이 한계에 달한 가운데 국민이 모두 병들고 있다고 전했다. 쿠바 15개 지역 가운데 무려 13곳에서 감염병이 유행하고 있다.
디아리오 데 쿠바는 경제 위기와 수돗물 공급 차질로 인해 위생과 보건 환경이 지난해보다 악화됐다며 올해 모기를 매개로 한 감염병에 걸린 주민은 지난해보다 훨씬 많을 것으로 추정된다고 보도했다.
쿠바 정부는 지난 16일 뎅기열에 걸린 주민 3명이 사망했다고 발표했다. 뎅기열로 인한 인명 피해를 공식적으로 처음 인정했다.
다만 사망자의 연령대나 발병 지역 등 구체적인 정보는 공개하지 않았다. 이 때문에 정부가 사태의 심각성을 축소하고 있는 게 아니냐는 의혹이 일었다.
세계보건기구(WHO)에 따르면 지난해 미주 대륙에서 1300만여명이 뎅기열에 결렸고 그중 약 0.09%에 해당하는 1만2000여명이 사망했다.
그해 10월 쿠바 정부는 자국의 뎅기열 환자가 2만명에 달하며 그 가운데 80%는 병원 치료를 받지 않았다면서 뎅기열 사망자 수는 공개하지 않았다.
복수의 중남미 보건전문가는 WHO의 통계를 근거로 볼 때 지난해 쿠바에서 약 18명이 뎅기열에 걸려 사망한 것으로 추정했다. 그러면서 정부가 지난해 은폐에 이어 올해 인명 피해 규모를 축소하고 있다는 의혹이 있다고 지적했다.
OCDH는 "쿠바 국민은 더 이상 쓰레기와 질병 속에서 살 수 없다"며 "정부는 재앙에 가까운 감염병 사태에 더 이상 침묵하거나 현실을 감추려 해선 안 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