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고려대-KIST, 세포외 소포체 분리하는 하이드로젤 기술 개발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w.asiatoday.co.kr/kn/view.php?key=20251023010008772

글자크기

닫기

강혜원 기자

승인 : 2025. 10. 23. 15:16

EV 손쉽게 분리해 진단·치료 분야에 활용 가능
[첨부1][고대의대] 연구진 사진
(왼쪽부터) 김준법 미시간대 박사후 연구원, 최낙원 고려대 의과대학 교수, 봉기완 고려대 공과대학교수, 강지윤 KIST 박사./ 제공=고려대의료원
최낙원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융합의학교실 교수와 봉기완 공과대학 화공생명공학과 교수가 강지윤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박사와 공동으로, 다양한 생체액(biofluid)에서 별도의 전처리 없이 세포외 소포체(EV)를 고효율로 분리하는 하이드로젤 기반 기술을 개발했다고 23일 밝혔다.

이번 연구 결과는 나노기술 분야 국제 저명 학술지 '네이처 나노테크놀로지' 온라인에 게재됐다.

최근 EV가 진단·치료 분야에 활용이 확대되는 추세다. 이를 생체액으로부터 효율적으로 분리하는 기술의 필요성도 커지고 있다. 기존에는 초원심분리 방식은 고가의 장비와 복잡한 전처리, 낮은 처리량 등으로 현장 적용에 한계가 있었다.

연구팀은 이를 해결하기 위해 하이드로젤 재료를 얼린 뒤 빛을 비춰 굳히는 방식으로, 약 400 나노미터(nm) 크기의 미세 구멍 구조를 구현했다. 이 과정에서 형성된 하이드로젤은 그물처럼 얽힌 3차원 다공성 구조를 가져 투과한 세포외 소포체를 효율적으로 선택적 포집할 수 있음을 확인했다.

해당 하이드로젤을 이용하면 고가의 장비나 복잡한 과정 없이 혈액, 소변, 침, 우유, 세포 배양액, 위암 환자 복수 등 다양한 생체액에서 EV를 빠르고 간편하게 분리할 수 있다. 이번 기술은 암, 신경퇴행성 질환, 대사 질환 등 다양한 질병의 조기 진단과 맞춤 치료에 활용될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한다.

최낙원·봉기완 교수는 "향후 연구자 또는 산업체가 복잡한 장비나 교육 없이 간단한 공정만으로 고순도의 세포외 소포체를 확보할 수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다양한 고부가가치 바이오산업의 실용적 기반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라고 말했다.

이어 강지윤 KIST 박사는 "이번 연구는 기존 세포외 소포체 분리 방식의 주요 한계를 극복하여 효율성, 접근성, 대량 처리, 사용자 맞춤 등 다양한 측면에서 강점을 갖고 있음을 입증했다"라고 밝혔다.
강혜원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