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Z세대 전담조직 배치·공론장 착수… 젠더 갈등 해소
|
원민경 성평등가족부 장관은 23일 기자간담회에서 "청년 세대가 인식 격차 해소의 주체가 돼야 한다. 어려운 숙제지만 회피하지 않겠다"며 "'성형평성기획과'가 남성 역차별만 다루는 조직이 아니다. 구조적 성차별 해소는 부처의 본연 업무이며, 인식 격차 해소는 이를 뒷받침할 보완축"이라고 강조했다.
논쟁의 중심에 선 성평등가족부의 '성형평성기획과'는 과장과 사무관·주무관 등 전원 1980~90년대생 MZ세대로 꾸려졌다. 남성 3명, 여성 1명으로 구성됐으며 설문조사, 제도 점검, 공론장 설계 등 대외 업무를 총괄한다. 내년 초 본격 정책을 추진할 예정이다.
이는 최근 이재명 대통령이 국무회의에서 "남성이 차별받는 부분이 있다면 점검해 달라"고 지시한 데 따른 후속 조치다. 성평등부는 병역, 채용·승진·임금 등 민감한 영역을 대상으로 논의를 시작할 예정이다. 원 장관은 "오는 29일부터 5회 내외 파일럿 콘서트를 열어 청년·전문가·언론이 함께 경청하고 토론할 것"이라고 밝혔다.
성평등가족부는 지난 1일 공식 출범했다. 3실·6관·30과 체제를 갖추고 성평등정책실을 신설, 정부 전반의 성평등 정책을 총괄·조정하는 컨트롤타워 역할을 강화했다. 고용노동부에서 업무를 이관받은 고용평등정책관을 신설해 성별 임금격차 해소와 경력단절 예방, 성별근로공시제 고도화를 추진한다.
젠더폭력 대응도 강화된다. 성평등정책실 산하에 안전인권정책관과 친밀관계폭력방지과를 신설해 디지털성범죄·교제폭력 등 청년층 피해에 선제 대응한다. 피해자 긴급보호부터 심리·법률 지원까지 끊김 없는 안전망을 구축한다는 계획이다.
가족·돌봄 분야에서는 한부모가족 양육비 상향과 선지급제 절차 개선, 아이돌보미 처우 개선, 2026년 국가자격제 도입 등 돌봄 체계 신뢰도를 높일 방침이다. 양육비 회수 인력 고용형태 논란과 관련해선 "모두 정규직이며 내년 충원 인력도 정규직"이라고 밝혔다.
성소수자 정책은 성평등정책관실을 중심으로 지속 추진하며, 임신중지 약물 도입·차별금지법·생활동반자법 등 사회적 쟁점은 국회·관계부처와의 숙의를 통해 논의할 계획이다. 원 장관은 "실패를 두려워하지 않고 성평등의 가치를 정부 전 분야에 녹여내겠다"며 "멈췄던 시계를 다시 돌리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