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성균관대는 국내 대학 최초로 전 구성원이 자유롭게 활용할 수 있는 대학형 생성형 인공지능(AI) 서비스 '킹고(Kingo)GPT'를 11월 초 오픈할 예정이다. 킹고GPT는 현재 서비스 안정화 및 검증 단계를 진행 중이다.
킹고GPT는 성균관대 전용 마이크로소프트 애저(Microsoft Azure) 클라우드 환경과 애저 오픈AI(Azure OpenAI) 플랫폼 위에 구축됐으며, GPT-5를 포함한 다양한 모델을 유기적으로 연동한 하이브리드 구조를 갖췄다. 이는 학내 주요 자료를 인공지능(AI)이 직접 이해하고 답변하는 '검색 증강 생성' 기반 서비스를 탑재했다. 또한 '통합논문검색' 기능도 추가돼 연구자들이 빠르게 논문 정보를 탐색하고, 출처 링크를 통해 원문으로 바로 이동할 수 있다.
성균관대는 킹고GPT 도입을 단순한 AI 서비스 구축이 아닌, 대학의 디지털 전환 전략을 실현하는 핵심 프로젝트로 보고 있다. 현재 11월 초 정식 오픈을 목표로 안정화 및 성능 튜닝 작업을 진행 중이며, 학사·인사·연구·행정 등 다양한 영역의 정보를 AI를 통해 신속하게 확인할 수 있는 학내 정보 서비스 체계 구축을 추진하고 있다. 이를 통해 교육·연구·행정 전반에 AI가 자연스럽게 스며드는 '미래형 스마트 캠퍼스' 구현에 박차를 가할 방침이다.
성균관대는 킹고GPT 서비스 오픈 이후, 학내 데이터를 활용한 대학 맞춤형 AI 서비스 제공을 위해 자체 LLM 구축을 추진할 방침이다. 향후 △성균관대 특화 AI 모델 개발 △학사·연구·행정 전 영역에 대한 맞춤형 서비스 제공 △교육 및 연구 목적에 특화된 기능 구현 등의 가능성이 논의되고 있다. 성균관대는 교육과 연구, 행정의 모든 영역에서 AI 혁신을 선도하는 '차세대 AI 선도 대학'으로의 도약을 장기적 비전으로 삼고, 단계적 추진을 검토할 계획이다.
유지범 성균관대 총장은 "킹고GPT는 단순한 AI 질의응답을 넘어, 학내 공인 문서를 기반으로 한 정확하고 일관된 정보 제공 체계를 구현한 첫 사례"라며 "모든 구성원이 학사·연구·행정 정보를 보다 쉽게 이해하고 활용할 수 있도록 AI 기반 행정 서비스 혁신의 기반을 마련했다"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