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 의원은 "농림축산식품부 최종 타당성 연구 결과 , 새만금 글로벌 푸드허브 사업은 농식품 수출 확대와 지역 산업 전환이라는 두 가지 목표를 동시에 실현할 수 있는 국가 전략사업임이 객관적으로 입증됐다"고 강조했다.
이번 사업에는 총 2조 4200억원이 투입되며, 조성에 따라 전국적으로 생산유발효과 2조 5384억원 , 부가가치유발효과 1조 7718억 원 , 취업유발효과 2만9299명 등 매우 높은 경제 파급효과가 예상된다 .
푸드허브는 새만금 신항만과 수변도시를 연계한 180ha 규모의 농식품 수출·가공 복합단지로, 생산·가공·저장·물류가 통합되는 첨단 수출 클러스터로 조성된다. 지난해 3 월에는 대통령소속 농어업·농어촌특별위원회, 새만금개발청, 전북특별자치도 등이 'K- 푸드 수출허브 단지 조성을 위한 업무협약 (MOU)'을 체결해, 대규모 식품기업 투자와 글로벌 협력을 위한 토대를 마련한 바 있다 .
이 의원은 "한류 열풍과 함께 세계적으로 K- 푸드에 대한 관심이 크게 높아진 지금 , 새만금이 글로벌 수요에 대응하는 전략적 수출 중심지로서 의미가 더욱 크다"고 덧붙였다 .
새만금은 중국 연안 경제특구와 최단거리에 위치해 있어 , 성장세가 뚜렷한 동아시아 식품시장과 지리적으로 가깝다 . 신항만 , 철도 , 국제공항 등 트라이포트 물류 인프라가 구축되는 지역적 이점은 농식품 가공과 중계무역 , 글로벌 인증·R&D 인프라 조기 확충 및 국제 식품기업 투자 유치에 매우 유리할 것으로 분석된다 .
또 새만금 농생명용지에서는 밀 , 조사료 등 수입 의존도가 높은 작물을 직접 생산함으로써 , 국가 식량자급률을 높이고 , 가공산업에 안정적으로 원료를 공급할 수 있다. 이러한 기반 위에서 새만금 푸드허브는 K- 푸드 수출산업을 지원하는 전략적 플랫폼으로 자리잡을 것으로 기대된다 .
이에 이 의원은 "새만금 글로벌 푸드허브가 우리나라 농업과 식품산업의 혁신 클러스터가 될 수 있도록, 세계시장에 대응하는 고품질 농식품 생산과 수출의 기반을 마련하는 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