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여의로] 2027 서울 세계청년대회(WYD) 누굴 위한 행사일까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w.asiatoday.co.kr/kn/view.php?key=20251028010011349

글자크기

닫기

황의중 기자

승인 : 2025. 10. 28. 15:48

특별법 제정을 두고 정교분리 논란 나와
국가 공동체 위한 행사란 인식 심어줘야
청년들을 위로하는 '연대의 장' 강조해야
clip20251028095407
천주교 서울대교구장 정순택 대주교(단상)가 이끄는 서울 WYD 조직위원회는 27일 서울 서초구 가톨릭대 성의교정 옴니버스파크 컨벤션홀에서 대회의 기본 계획을 설명하는 언론 브리핑을 했다./사진=황의중 기자
황의중 기자의눈
서울 세계청년대회(WYD·World Youth Day)가 2027년 7월 29일부터 8월 8일까지 서울을 중심으로 전국에서 열린다.

WYD는 전 세계 가톨릭(천주교) 청년 약 100만 명이 한국을 찾는 대규모 행사로, 레오14세가 이번에 방한하면 요한 바오로 2세(1984·1989년), 프란치스코(2014년)에 이어 네 번째 교황의 방한이 된다. 한국천주교 입장에선 매우 중요한 행사가 아닐 수 없다.

현재 국회에는 서울 WYD 개최와 관련한 특별법 3건이 발의된 상태다. 100만 명에 달하는 전 세계 청년들이 몰리는 이상 숙박과 안전, 대테러 방지 등을 위해선 지자체와 학교 등 공공시설, 경찰, 의료기관 등의 협조가 필수적이기 때문이다.

문제는 2027 서울 WYD의 성격이다. 만일 서울 WYD를 가톨릭 종교 행사라고 정의한다면 특별법은 논란이 될 수밖에 없다. 정교분리가 원칙인 대한민국에서 특정 종교를 위해 국가차원의 예산과 행정력이 동원되는 것으로 비칠 수 있어서다.

특별법 발의 소식이 알려지자, 대한불교조계종부터 "특정 종교 행사에 세금을 사용하는 것은 명백한 특혜"라며 "헌법상 종교의 중립성을 위배한다"고 반발하고 나섰고, 시민단체인 범종교개혁시민연대는 지난 23일 "WYD 지원 특별법은 정교분리 원칙 위배의 요소가 있고 특정 종교 편향 논란을 야기할 수 있다"고 반대했다.

서울 WYD 개최에 대한 부정적인 목소리는 아직 크지 않은 편이다. 하지만 비상계엄 사태 이후 특검팀의 수사에서 불거진 특정종교의 정치개입 의혹은 우리사회에게 적잖은 파장을 남겼다. 2024년 기준 한국리서치 조사에 따르면 한국에서 무종교인 비율은 51%에 달한다. 종교에 관심이 없는 사람이 더 많은 국가다 보니 종교 행사에 범정부적 지원이 붙으려면 대의명분이 있어야 한다.

결국 특별법을 비롯한 각종 지원이 가능하려면 서울 WYD가 국가 공동체를 위한 행사라는 인식이 국민들에게 자리 잡아야 한다. 서울 WYD 조직위 측이 언론 브리핑에서 2조700억~3조1500억원 규모의 생산 유발 효과, 9100억∼1조3700억원 부가가치 유발 효과, 1만1000∼1만6000명 고용 유발 효과 등이 기대된다는 조사결과를 강조한 것도 이 때문이다.

행사가 있는 2027년 여름까지는 길다면 긴 시간이고 촉박하다면 촉박한 시간이다. 긍정적인 여론을 바탕으로 한 국가적 지원 없이 한국천주교만의 힘으로 100만 명이 넘는 인원이 몰리는 행사를 감당하는 것은 버거워 보인다.

서울 WYD 조직위 발표를 보면 교황의 방한에 중점을 두는 느낌이다. 오히려 WYD가 세계 청년들과 한국 청년들이 교류하는 장이라는 점을 강조하는 것이 더 낫지 않을까. 우리 사회가 고달픈 청년들을 위로해 주지 못하는 상황에서 WYD가 '너는 혼자가 아니다'를 알려주는 연대의 장이 된다면, 종교성을 넘는 가치 앞에 공감하는 국민도 늘 것이다.

황의중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