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번가, 매각 리스크 등 불확실성 해소
OK캐쉬백과 '마일리지 시너지' 기대
플래닛, 간편결제·기프티콘 영역 확장
경쟁사 대응 '통합 멤버십' 기반도 마련
|
SK스퀘어는 29일 이사회를 통해 11번가 지분 100%를 자회사 SK플래닛에 매각하기로 결정했다. 이로써 지배구조는 'SK스퀘어-SK플래닛-11번가'로 재편되며, 11번가는 SK플래닛의 100% 자회사가 된다. 기존에는 SK스퀘어가 SK플래닛과 11번가를 각각 자회사로 보유한 구조였다.
SK플래닛은 11번가 FI(재무적투자자)에게 지분 인수 대가로 총 4673억원을 연내 일시 지급할 예정이다. 11번가 FI는 동반매도청구권 행사를 통해 11번가 지분 전량을 SK플래닛에 매각하며 투자금을 회수하게 된다.
인수 대금은 SK스퀘어의 증자와 SK플래닛 자체 자금을 활용할 계획이다. 또한 SK스퀘어가 보유한 스파크플러스(공유오피스), 해긴(게임), 코빗(가상자산거래소) 등의 지분도 SK플래닛 산하로 재편된다.
11번가는 이번 거래로 2018년 국민연금 등으로부터 5000억원을 투자받은 이후 IPO(기업공개) 실패와 매각 협상 난항이라는 불확실성이 해소됐다. 2023년 11번가는 SK스퀘어가 1차 콜옵션을 포기한 뒤 아마존, 알리바바, 큐텐 등 다양한 잠재 인수자들과 협상을 진행했지만 무산된 바 있다.
양사는 이번 개편을 통해 각사의 핵심 사업인 OK캐쉬백과 이커머스의 시너지에 집중, 업계를 대표하는 마일리지·커머스 기업으로 거듭난다는 계획이다.
SK플래닛은 현재 국내 1위 통합 마일리지 플랫폼 OK캐쉬백을 운영하고 있다. OK캐쉬백 앱의 월평균이용자수(MAU)는 250만명이지만, 전체 회원 수는 약 3000만명에 달한다. 연간 포인트 적립·사용액은 약 4000억원 규모다. 11번가의 월평균이용자수는 860만명으로 국내 이커머스 기업 중 2위를 차지하고 있으며, 연간 상품거래액은 5조원 수준이다.
SK플래닛은 11번가라는 커머스 플랫폼을 기반으로 마일리지 적립·사용처를 대폭 확장하며 OK캐쉬백의 경쟁력을 한층 끌어올릴 수 있게 됐다. 특히 OK캐쉬백과 11번가의 간편결제 서비스 11pay를 결합해 '결제→포인트적립' 서비스를 구축하고, 11번가 기프티콘 사업과 함께 OK캐쉬백 앱 내 판매 및 포인트 활용 마케팅을 강화할 예정이다.
11번가가 OK캐쉬백과 긴밀하게 연동되면 포인트 적립과 사용을 통한 고객 유치와 충성도 제고에 도움이 될 전망이다. 쿠팡의 와우 멤버십, 네이버의 네이버플러스 멤버십에 대응하는 통합 멤버십 전략을 수립할 수 있는 기반이 마련됐다는 분석이다.
11번가는 'AI 기반 맥락(Context) 커머스'로 진화하겠다는 비전도 제시했다. AI가 고객의 구매 패턴과 취향 등을 다면적으로 이해하고 맞춤 상품을 추천하는 커머스를 지향한다는 것이다. 양사는 기존 AI 및 데이터 기술 역량을 통합해 11번가를 새로운 소비 경험을 제공하는 차별화된 커머스 플랫폼으로 키운다는 전략이다.
11번가는 지난 2년간 강도 높은 구조조정으로 영업손실을 절반 이상 줄이는 데 성공했다. 2022년 1515억원에 달하던 영업손실은 2024년 754억원으로 축소됐고, 오픈마켓 부문은 이미 흑자를 달성했다. 11번가는 수익성이 낮은 직매입(리테일) 비중을 줄이고, 중소 판매자들의 수수료 기반 오픈마켓 모델에 집중하는 전략을 추진해왔다.
SK스퀘어·SK플래닛·11번가는 이번 개편에 대해 "SK스퀘어·SK플래닛·11번가의 미래 성장과 주주, 투자자, 셀러·고객 등 모든 이해관계자들이 윈-윈할 수 있는 최적의 해법"이라고 평가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