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SK텔레콤, AI CIC 공동대표 선임…AI 사업 가속화 시동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w.asiatoday.co.kr/kn/view.php?key=20251031010014069

글자크기

닫기

이서연 기자

승인 : 2025. 10. 31. 16:49

유경상 Corp. Strategy센터장·정석근 GPAA사업부장 공동 CIC장 선임
기술·서비스 융합한 '투톱 체제'로 AI 시너지 극대화
속도·민첩성 앞세워 글로벌 AI 시장 선점 박차
유경상 AI CIC장
유경상 AI CIC장./SKT
SK텔레콤이 AI 사업 가속화를 위한 'AI CIC(Company in Company)' 공동 대표 체제를 확립하며 본격적인 조직 개편에 나섰다.

31일 SK텔레콤은 AI CIC장에 유경상 현 Corp. Strategy센터장과 정석근 현 GPAA사업부장을 공동 선임했다고 밝혔다. 이번 인사는 지난 9월 AI 역량을 한데 모아 민첩한 사업 추진을 목표로 AI CIC를 출범한 이후 핵심 리더십 구성을 마무리하는 조치다.

AI CIC는 급변하는 글로벌 AI 산업 환경 속에서 AI 서비스(수요)와 AI 기반 기술(공급)이 선순환하는 구조를 확립해야 한다는 전략적 판단 아래 만들어졌다. SKT는 이번 '투톱 체제'를 통해 AI 기술과 비즈니스 양 측면의 전문성을 결합해 시너지를 극대화하겠다는 계획이다.

유경상 신임 CIC장은 구글 본사 출신으로 SK 그룹의 AI 전략과 글로벌 파트너십 구축을 총괄하며 SKT의 전략 및 신사업 발굴을 담당해왔다. 정석근 CIC장은 네이버 클로바 CIC 대표를 역임했으며 SKT 합류 이후 AI 기술 개발과 글로벌 투자, 플랫폼 인프라 구축 등 AI 기반 기술 분야를 이끌어왔다.
정석근 AI CIC장
정석근 AI CIC장./SKT
SKT는 이번 공동 선임을 통해 AI 전략과 사업 실행력을 동시에 강화하고 'AI 정예 조직'의 전문성을 극대화할 방침이다. 특히 속도감 있는 실행을 위해 CIC 조직 개편을 조만간 확정할 예정으로 보고 및 결재 라인을 단순화하고 실무 중심의 에자일 구조로 전환할 계획이다.

정석근 CIC장은 "AI CIC 출범은 단순한 조직 개편이 아니라, SKT가 가장 잘할 수 있는 AI 사업에 집중할 시스템을 갖추는 일"이라며 "급변하는 AI 시장에서 SKT만의 경쟁력을 확보하겠다"고 말했다.

유경상 CIC장은 "각 분야의 전문성을 갖춘 AI 정예 조직이 유기적으로 협력해 시장 변화에 발 빠르게 대응할 것"이라며 "고객이 체감할 수 있는 실질적 AI
성과를 만들어내겠다"고 강조했다.
이서연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