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MGICS·HTX 협력 이어 수소까지… 싱가포르 거점 확장
조호르 연계·항만 물류 고려 시 동남아 국가 공략 속도↑
|
3일 현대차그룹은 '2025년 APEC 정상회의' 주간인 지난 31일 경주엑스포대공원 K-테크 쇼케이스 행사장에서 싱가포르 EDB와 '수소 중심 저탄소 기술 개발 기회 발굴을 위한 MOU'를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번 MOU는 단순한 수소차 도입 및 실증 단계를 넘어 '국가 단위 수소 생태계"를 구현하는 정책 파트너십을 이끌어냈다는 점에서, '싱가포르를 미래 모빌리티 정책 테스트베드화'하는 전략을 본격화했다는 해석이 나온다.
이번 협약식에는 박재하 현대차그룹 글로벌수소비즈니스사업부 상무, 클라란스 추아 EDB 한국·일본 총괄 이사, 트레버 웡 한국?일본 담당 디렉터 등이 참석했다.
EDB는 싱가포르 산업정책·산업개발 전략을 총괄하는 정부기관으로 제조·무역·통상 투자 기획을 맡고 있으며, 관할 산업군이 싱가포르 GDP의 3분의 1 이상을 차지할 정도로 영향력이 크다. EDB와 MOU를 맺은 현대차그룹 입장에선 정책 레벨과 수소 생태계 협력 축을 확보했다는 의미를 갖는다.
현대차그룹은 이번 협력을 통해 싱가포르 내에서 수소 기반 발전, 장거리 수소 운송 등의 기반 작업에 착수할 예정이다. 이는 앞서 HMGICS(싱가포르 글로벌 혁신센터) 운영, HTX와 PBV 기반 공공 플릿 실증 착수에 이어 '에너지, 모빌리티, 운영'을 연결한 세 번째 축이라는 평가를 받는다.
싱가포르는 승용차 내수가 작은 도시국가지만, 항만 중심 물류 의존도가 높고 에너지 전환 정책 의지가 강한 국가다. 여기에 싱가포르는 말레이시아 조호르와 자유무역특구를 통해 물류·전력 연계가 가능한 만큼, 싱가포르에서 정책형 수소 실증은 현대차그룹의 '동남아 국가로의 진입 확산'의 계기가 될 수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현대차그룹은 또한 브랜드 가치를 강화하고 수소 기술의 혁신을 알리기 위해 현지 파트너사와 협업도 진행한다. 차량 운영 파트너십, 대중 인식 확산 활동을 병행해 수소 생태계를 대중적으로 확산한다는 계획이다.
정 징신 싱가포르 EDB 모빌리티 담당 이사는 "이번 협력은 지속 가능한 기술 개발을 지원함으로써 싱가포르의 저탄소 경제 발전 의지와 밀접하게 부합한다"며 "양측은 현대차그룹 글로벌 네트워크 내에서 싱가포르가 가진 혁신 허브로서의 입지 강화를 위해 지속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박재하 현대차그룹 글로벌수소비즈니스사업부 상무는 "수소 산업의 기반을 마련하는데 있어 정부의 제도적 지원은 매우 중요하다"며 "EDB와의 협력을 통해 수소 생태계 조성을 위한 정책적 방향성과 실행 기반이 마련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